우리 정부가 2027년까지 약 5조원대의 콘텐츠 정책금융을 공급한다. K콘텐츠 산업의 글로벌 도약을 위해서는 콘텐츠 페스티벌을 확대한다.

정부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는 18일 경기도 판교 LH기업성장센터에서 8차 회의를 열고 ‘한국경제의 새로운 경제 성장 엔진, K콘텐츠 글로벌 4대 강국 도약전략’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 등 13개 관계부처 장관, 민간 위촉위원이 참여하는 콘텐츠 산업 분야 최고 의사결정 기구다.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는 이번 회의에서 K콘텐츠 국가전략산업화, 콘텐츠 기업 성장, 글로벌 주류문화 도약, 콘텐츠 핵심 장르 집중지원 등 콘텐츠 글로벌 4대 강국 도약전략을 논의했다.
우선 우리 정부는 기업·대학·연구소 등이 집결해 콘텐츠 생산부터 소비까지 한곳에서 이뤄지는 문화·산업 복합단지를 조성한다. 또 2027년까지 3조4000억원 규모 정책펀드, 9000억원 규모 콘텐츠 보증, 7000억원 규모 대출이자 지원 등 총 5조원대의 콘텐츠 정책금융을 공급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콘텐츠 핵심 장르 및 타 산업 융합 연구개발 투자, IP 발굴·육성, 인프라 조성 등 IP 기반 생태계를 구축한다. 정부는 콘텐츠 기업도 성장단계별로 지원하고 지역거점 콘텐츠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규제도 혁신할 예정이다.
정부는 K콘텐츠 산업의 글로벌 도약을 위한 콘텐츠 페스티벌을 확대한다. 정부는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를 보다 확대하고 세계 웹툰 축제 및 K컬처 종합축제를 개최할 예정이다. K콘텐츠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 진출거점을 확보하고 수출기업 지원에도 나선다.

콘텐츠 산업 장르별 세부계획도 이날 논의됐다. 게임 분야는 세계적인 콘솔 플랫폼사와 협업 및 맞춤형 지원을 통해 우수 콘솔게임을 육성한다. 웹툰은 국내 플랫폼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웹툰 번역 등 현지화를 지원한다.
영화는 영상 콘텐츠 통합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투자·제작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음악은 중소기획사를 양성하고 유명 페스티벌과 연계하는 등을 추진한다. 방송 분야는 제작사와 OTT 플랫폼 간 IP 공유 문화 확산으 ㄹ유도하고 해외 제작사 및 OTT 플랫폼 협업을 확대한다.
한덕수 총리는 “콘텐츠 산업이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국가적 지원전략과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콘텐츠 산업이 세계 4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플랫폼과 창작자 등 콘텐츠 산업의 주요 플레이어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