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초소형급 지구관측용 실용위성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24일 발사 후 정상 작동한 데 이어 지상국과 양방향 교신을 정상 수행해 위성 발사에 최종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B·T·S’(Beginning of The Swarm, 군집의 시작)로 명명된 국산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이날 오전 7시 32분쯤(현지 시간 오전 10시 32분쯤)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됐다.
과기정통부는 4시간 25분 뒤인 11시 57분쯤 항공우주연구원의 대전 지상국을 통해 수신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양전지판이 정상 전개돼 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한 위성 상태를 확인했다. 오후 2시 13분, 3시 44분쯤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양방향 교신까지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초소형군집위성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재난·재해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과기정통부와 국가정보원으로부터 지원받아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 사업을 통해 개발한 지구관측 실용위성이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경량화 저비용화 저전력화에 중점 두고 개발됐다. 앞으로 3년 이상 500킬로미터(㎞)가량 상공에서 흑백 1미터(m)급, 컬러 4m급 해상도의 광학 영상을 공급한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오는 2026년, 2027년 각각 5대의 위성이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로 후속 발사된다. 이를 통해 오는 2027년 하반기부터 11대의 위성이 군집 형태로 운영된다. 후속 발사가 모두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군집위성은 한반도를 1일 3차례 이상 관측 가능해 기존 중대형 지구관측 위성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번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성공은 개발‧제작‧발사 전과정에 걸쳐 산학연 역량이 결집된 결과다”며 “후속 위성들도 뉴스페이스 시대에 걸맞게 차질없이 개발해 우리나라의 우주기술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고 우주산업을 지속 육성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윤오준 국가정보원 3차장은 “국가안보의 범위가 우주공간까지 확장되는 만큼 이번 위성개발을 계기로 국가 우주안보의 기반이 되는 핵심기술 역량을 제고하고 국내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민간과의 협력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
- SK하이닉스, 20조원 이상 투입해 ‘차세대 D램’ 생산기지 건설
- LG이노텍, 1분기 영업익 1760억원…고성능 제품·강달러에 수익성 개선
- 삼성바이오로직스, 1Q 영업익 2213억원…역대 최대
-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 12대 회장에 MDS테크 이창열 대표 선임
- 빙그레, 탄소중립 실천 및 자원순환 활성화 나서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