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 대기, 전기차 오너들 불만 증폭
배터리 성능 개선과 인프라 확충 필요
제도 개선으로 근본 해결책 제시 돼야
전기 트럭이 불편한 전기차 오너들

소형 전기트럭 때문에 승용 전기차 오너들의 불만이 점점 쌓이고 있다. 이들이 전기차 충전기를 사용하는 바람에 충전 대기 시간이 상당히 길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자동차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를 시작으로, 뉴스 보도로 소개 될 만큼 새로운 사회 갈등으로 떠올랐다. 우리나라는 전기차 대비 충전기 비율이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하지만, 포터2 전기차, 봉고3 전기차 등 소형 전기 트럭 등록 대수가 갑자기 급증해, 교통량이 많은 도심과 고속도로 휴게소 등지에서 충전을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전기차 오너들이 많아졌다.
2022년 말 기준, 국산 소형 전기 트럭 보급 대수는 8만 대를 넘어섰다. 이어서 2023년 중순에는 10만 대에 도달했다. 정확한 집계가 필요하겠으나, 2023년 말에는 13만 대 수준의 누적 보급 대수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시간이 지날 수록 승용 전기차와 상용 전기차 오너들 사이의 다툼이 심화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너무 짧은 주행거리
결국 충전기 자주 이용

이번 이슈는 충전기 부족 현상 외에도 여러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터져 나온 사례다. 우선, 잦은 충전 횟수가 문제다. 포터2 전기차 기준, 완충 시 주행거리는 211km다. 심지어 고속 주행 시 177km가 한계다. 경형 전기차 레이 EV와 비슷한 수준인 셈이다.
현대차 아이오닉 5나 기아 EV6 등 국산 전기차와 이에 준하는 제원을 갖춘 수입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최소 400km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산술적으로 소형 전기 트럭 오너들은 승용 전기차보다 2배 더 충전기로 향하게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특히 무거운 화물을 싣고 다니면 더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이런 트럭들 대부분은 일반인 대비 하루 평균 주행거리가 길다. 따라서 누적 13만여 대에 달하는 전기 트럭들이 서울~수도권 등지에서 26만여 대 규모만큼 전기차 충전기를 이용하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작년 기준,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45만~50만대 정도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전기차 충전기를 두고 다투는 일이 빈번하다.

게다가 350kW 급 초급속 충전기를 그냥 이용하는 사례도 흔하다. 포터2 전기차는 100kW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충전 속도가 빠른 충전기를 사용해도 100kW로 고정 된다.
때문에 빠른 충전이 필요한 다른 전기차가 하염없이 기다리는 수 밖에 없다. 물론, 그런 시설인 줄 몰랐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지만, 결과적으로 다른 전기차들 입장에선 민폐일 뿐이다.
오히려 정부가 문제라는 의견도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전기 트럭 보급 확대 정책이 문제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주행거리와 충전속도 등 전기차 성능 개선 없이 무분별하게 판매를 허용해 사회적 혼란을 부추겼다는 입장이다.
특히 소형 전기 트럭 구매자에게는 보조금, 충전요금 할인,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지원이 있었다. 그리고 한시적으로 영업용 번호판을 함께 지급하는 파격적인 정책이 뒤따르기도 했다. 덕분에 보급대수는 급증했지만, 이에 따른 갈등까지 양산하게 됐다.
앞으로 출시할 상용 전기차는 승용 모델보다 더 효율적이며 빠른 충전속도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를 방치하면 고질적인 충전기 부족으로 이어져, 전기차 시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