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 시간대 혼잡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 부정적인 의견도 많아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해 4호선 열차 1개 칸의 객실 의자를 없애는 시범사업을 10일 출근길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출근 시간은 오전 7시부터 9시까지다.
공사는 혼잡도와 열차 내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혼잡도가 높고 객실 의자 아래 중요 구성품이 적은 3호차(4번째 칸 또는 7번째 칸)를 객실 의자 제거 대상 칸으로 정했다.
4호선 열차 한 칸의 최고 혼잡도는 193.4%로 지하철 1~8호선 중 가장 높았다. 혼잡도란 실제 승차 인원을 승차 정원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이번 시범열차 운행은 객실 의자 제거 칸이 전동차에 적용된 최초 사례이다. 객실 의자가 없어 발생할 수 있는 넘어짐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지대와 손잡이 등이 추가 설치됐으며, 자동안내방송과 출입문 안내 스티커 부착 등의 사전 대비도 마쳤다.

하지만 누리꾼들의 부정적인 의견도 속출하고 있다. 특히 하반기에 지하철 요금 150원 추가 인상안이 발표되면서 “요금도 인상됐는데 서서 가라는 거냐” , “대체 누구 머리에서 나온 건지 궁금하다” , “출근한 사람이 낸 정책이 아닐 듯.” 등 실생활에 적용이 힘든 정책이라는 비판적인 의견을 내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