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SUV 인기 급상승
그랜저, K8 등 세단 역시 하이브리드 주목
전기차의 기술적 한계로 하이브리드 반사이익
지금은 하이브리드 SUV가 대세

지난해 내수 자동차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SUV의 비중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내수 판매량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현대차와 기아 신차 중 유독 하이브리드 모델이 강세를 보이며 내연기관 모델을 뛰어넘은 경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시장에서 판매된 중형 SUV인 싼타페의 전체 판매량 5만1343대 중 하이브리드 모델이 2만9854대로, 58.2%의 비율을 차지할 만큼 하이브리드 수요가 많음을 강조했다.
이는 2021년 7월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이후 처음으로 내연기관 모델을 앞선 것이다. 이전 해에는 전체 판매량의 23.3%에 불과했던 싼타페 하이브리드 모델이 2022년에는 47.3%로 점유율이 크게 증가했다.
사실상 하이브리드 원툴, 쏘렌토

기아 역시 현대차만큼 하이브리드 실적이 크게 올랐다. 특히 쏘렌토 하이브리드 모델이 강세를 보였는데, 지난해 쏘렌토 전체 판매량 8만5811대 중 66.6%인 5만7109대가 하이브리드 모델일 정도다.
쏘렌토는 2022년 하이브리드 모델의 비율이 71.7%였으나 2023년에는 소폭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매 대수는 7000대 이상 증가했다. 이러한 추세 덕분에 쏘렌토는 기아 브랜드 중 내수 판매 1위를 차지했다.
하이브리드 최강자, 그랜저 HEV

한편 현대차 신형 그랜저도 하이브리드 모델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총 11만3062대의 그랜저가 판매되었는데, 그 중 6만1907대가 하이브리드 모델로 전체의 54.8%를 차지했다. 2013년 12월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이후 처음으로 전체 판매량의 절반을 넘어선 것이다.
형제 모델인 기아의 K8 역시 하이브리드 모델이 62.3%인 2만5211대로 내연기관 모델을 앞지르며 내연기관차의 시대가 저물고 친환경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대가 왔음을 알렸다.
결국 전기차 기술 한계 때문에 선택

업계 전문가들은 하이브리드 모델의 인기는 전기차의 기술적 한계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오랜 충전 시간과 인프라 부족으로 전기차 구매를 꺼리는 소비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대신, 차선책으로 높은 연비와 정숙성 등 여러 장점을 가진 하이브리드 모델이 주목받게 됐다.
올해는 카니발 1.6 하이브리드 모델이 본격적으로 팔릴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주요 판매 모델들 전부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품게 됐는데, 과연 올해에도 작년과 같은 실적을 기대할 수 있을까?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