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b25b06a8-4be8-4056-897c-5837a1db8c86.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21c47cd2-b8cc-4076-aa4a-3e6dc4e77803.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06425796-df77-4b1c-a7f9-08e99c10ef16.jpeg)
오토바이 관련 이슈는 뉴스와 인터넷을 뜨겁게 만든다. 접한 사람들 모두 ‘참교육’이 필요하다며 열을 내기 때문이다. 특히 경찰들이 오토바이에 쩔쩔매는 모습은, “미국식으로 때려잡아야 한다.”는 말이 나올정도다.
그렇다면 경찰들은 오토바이를 제압해 멈추게 할 수 있을까? 최근 촉법소년을 비롯해 법적으로 ‘어쩔 수 없는’ 구멍이 자주 도마 위에 오르기에, 간략히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9f2eeb6f-2738-44aa-a15d-d6799c49147a.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87aee032-f7a0-4a2b-89a7-89190a49e701.jpeg)
작년 5월 제주시내에서 무면허로 오토바이를 운전중이던 폭주족 청소년들이 검거 됐다. 당시 폭주족들은 과속, 불법 유턴 등 15 차례에 걸쳐 위법 행위를 자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계속해서 정차를 요구했으나, 들을 리 만무했다. 오히려 경찰을 조롱하며 도망다니는 추태를 부렸다. 저녁 퇴근 시간이었기 때문에 매우 위험했고, 실제로 운전자들이 위협 받기도 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1cc91cb3-d45c-47d1-86f5-c39cc89305fa.jpeg)
결국 경찰은 오토바이를 막아섰고 이 과정에서 폭주족인 청소년은 목뼈를 다쳐 전치 12주 판정을 받았다. 폭주족 부모측은 업무상과실치상으로 소송을 건다는 입장을 고수했으나, 당시 사고를 접한 국회의원, 시민, 경찰 등 각계각층에선 오히려 칭찬과 특진이 맞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d135dc99-a4a7-499e-8069-92f11f5a6b5a.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15850982-11b3-4b9c-9e79-0c79a440da4f.jpeg)
그렇다면 경찰은 고유 권한으로 위와 같은 상황에 진압을 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가능하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경찰이 책임질 부분도 생길 수 있어, 매우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교통단속처리지침에 따르면,
□ “교통법규 위반 행위 단속 시, 차량의 옆, 뒤에서 단속”
□ “무리한 추격 지양”
이라는 지침에 의하여 단속을 실시한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71a8c042-8ecc-4720-a346-745b0b5d95c7.jpeg)
이외 유사 규정인 ‘지역경찰조직 및 운영에 관한규칙’에는 순찰 중 도로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교통흐름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라고 명시되어 있다.
만약 위법한 행위를 하는 운전자를 인지했거나 신고받았다면 단속하거나 처리하라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0a856bee-3ac7-42cb-94f9-997064c50536.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c6552025-921e-4c63-add5-0a786d1aba3e.jpeg)
종합하면, 경찰 명령에 불응하거나 고의적인 행동을 취하면 충분히 제압할 수 있다는 의미다. 다만 과잉진압의 범위가 모호해, 여전히 경찰들은 적극적인 단속에 소극적이다. 만약 이 부분을 정부가 나서서 진압 기준을 명확히 한다면 지금보다 더 안전한 도로 환경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원래는 잡죠” 오토바이 못 잡는 경찰들, 안타까운 이유 있었다
글 / 다키포스트
ⓒ DAKI PO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콘텐츠 관련 문의 : dk_contact@fastlabs.co.kr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c94412d4-d9d3-4ef7-a529-9d3f8324849e.jpe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