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feff64c5-9b0b-42ce-b646-4825a0b55c90.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0f3bc67d-8dca-4b8f-8ddb-f1e8fb8fb84e.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803b08cf-4e8f-409b-8091-620a9380795e.jpeg)
전기차는 여러 가지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예상보다 더딘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2030년 즈음 내연기관차를 완전히 대체하게 될 예정이지만, 안전성과 가격이 발목을 잡는다. 좀 더 들여다보면 배터리 문제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이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87d254f8-90f6-4569-9f82-71a61e36c4bf.jpeg)
특히 배터리 화재는 소비자들이 전기차 구매를 단념하게 만드는 최악의 단점이다. 배터리 결함, 분리막 손상, 과전류 등 여러 변수로 내부 온도가 빠르게 올라, 화재로 이어진다. 무려 1천도 넘게 오르는데, 통상적인 소방 활동으로 끌 수 없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021dd77e-0889-4f11-986a-6d9114a6094d.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d90a7872-4010-44b2-b38c-2a8b530dc597.jpeg)
결국 화학 구조상 안정성이 뛰어난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했다. 에너지 밀도가 낮아, 주행거리가 짧다. 하지만 내열성이 높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e3f120c4-2e2d-4cbb-a146-30d259cc1d85.jpeg)
전기차 보급과 시장 선점에 관심을 보이는 제조사 입장에서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덕분에 중국 배터리 제조사의 약진이 시작돼, 글로벌 상위권에 오르며 존재감을 과시 중이다. 이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주행 거리는 짧지만, 내열성이 우수한 LFP 배터리가 주목받고 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44c83ba3-b73d-4b0b-9cf7-58d745132bc0.jpeg)
![출처 : UNIST](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825ffdfc-3e28-4fca-8fa4-96bcb7c58b30.jpeg)
최근에는 배터리 성능과 더불어 불연성까지 두루 갖춘 배터리 기술이 소개되어 화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은 배터리 전해질에 미량의 고분자를 첨가한 반고체 전해질을 만들었다.
이 배터리에 들어간 반고체 전해질은 기존 배터리의 전해질보다 리튬 이온 전도도가 33%가량 높았다. 심지어 배터리 수명도 기존보다 110% 향상됐다. 특히 배터리 화재를 유발하는 화학적 연쇄 반응까지 억제해, 안전성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에 따르면 해당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 조립 공정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즉, 불연성 배터리 상용화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님을 강조한 셈이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d0be1e97-3dd0-42e9-82dd-147d3a9dbd9a.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1c6f829d-500f-45c3-a9b8-2819ee24b1fb.jpeg)
이 연구 결과는 국내외 특허 출원 상태이며, 저명한 학술지에소 게재될 만큼 주목받는 중이다. 그동안 배터리 화재로 주춤하던 전기차 시장에 한 줄기 희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 달성해야 할 ‘전고체 배터리’로 넘어가기 전 성능과 안전성을 만족하는 배터리로서 충분히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연 이 기술은 실제 상용화로 빠르게 이어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나오면 업계 싹쓸이” 전기차 화재, 한국에서 해결 신차에 적용해라 난리!
글 / 다키포스트
ⓒ DAKI PO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콘텐츠 관련 문의 : dk_contact@fastlabs.co.kr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0/CP-2022-0184/image-f82b16e7-5eac-4386-82e4-d3abcca31b15.jpe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