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차 출시 소식이 보도될 때 유독 눈에 띄는 내용이 있다.
“디젤 모델은 단종됐다.”
물론, 이와 똑같이 언급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뉘앙스로 언급되는 일이 많아졌다. 실제로 세단 중 디젤 모델은 국산/수입 포함, 찾아보기 힘들다. 그나마 SUV에는 강력한 토크, 높은 연비를 이유로 일부 유지 중이다.

작년, 국산 디젤 승용차 판매량은 206,985대다. 2020년 316,013대 대비 10만 대 넘게 감소했다. 특히 2019년 기준, 승용 디젤차 점유율은 27.26%였으나 작년 17.07%로 급감했다. 이런 추세는 올해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현대차도 디젤차 제외 분위기에 편승했다. 현대차 내 디젤차 실적은 2019년 125,683대에서 작년 64,686대로 반 토막 났다. 기아도 139,601대에서 109,341대로 감소했다. 특별한 이유를 찾지 않아도 몇몇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다.
수입차 시장 역시 디젤은 감소세다. 2019년 수입차 전체 판매량 중 디젤차 비중은 30.3%였다. 그러나 2020년 27.7%로 소폭 감소했으며, 작년 14.1%로 급감했다.


디젤차의 빈자리는 하이브리드차의 몫이다. 올해 들어, 하이브리드차 실적이 디젤차를 앞질렀다. 업계 관계자들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신차 트렌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하이브리드차는 엔진과 모터(+배터리)를 모두 사용한다. 일반 하이브리드 기준, 전기차와 같은 충전의 불편함으로부터 자유롭다. 주유소에서 휘발유만 채우면 디젤차보다 높은 연비를 자랑한다. 대표적으로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이론상 1천 km 주행이 가능하다.

가격은 내연기관차보다 비싸지만, 전기차에 비하면 감당 가능한 수준이다. 평균적으로 하이브리드차는 내연기관차 대비 300~500만 원, 전기차는 1천~2천만 원가량 비싸다. 진입 장벽이 낮고 저속~중속 주행 시 전기 모드로 정숙성까지 기대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요약하면,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과도기에 속하지만 두 차종의 장점을 두루 갖춰 ‘팔방미인’이라 평가받고 있다. 덕분에 하이브리드차 신규 등록대수는 2016년 62,294대에서 작년 211,304대로 급증했다. 실질적으로 친환경차 시장 규모를 견인하는 중이다.


디젤차는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미립자 필터를 시작으로 요소수 등 온갖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신차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지만, 이렇다 할 대안이 없다. 배출가스 저감장치 없인 세계 각국의 배출가스 규제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젤-하이브리드가 잠깐 떠올랐으나, 비싼 디젤차 값+비싼 하이브리드 시스템 조합으로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 사장됐다. 우리나라의 경우 폭스바겐 발 디젤 게이트로 인한 신뢰 감소, 우-러 전쟁에 의한 경유값의 휘발유값 역전 등 결정타를 날린 이슈가 많았다.
상용차도 점진적으로 디젤엔진에서 벗어나는 추세다. 과연 몇 년 후 ‘디젤’이라는 용어가 옛말이 될까?
“거봐, 사지마” 신차 나오면 꼭 있던 ‘이 사양’ 조만간 싹 사라진다
글 / 다키포스트
ⓒ DAKI PO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콘텐츠 관련 문의 : dk_contact@fastlabs.co.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