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조작 매뉴얼, 비상 대처 절차 기억하는 인간형 로봇
연구팀 “진동 심한 항공기 내부서도 로봇 팔·손 정밀 제어”
생성형 AI(인공지능) 챗GPT로 항공기 조작 매뉴얼을 학습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탄생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사람처럼 움직이는 기계다. 이 로봇은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들어졌으며 2026년 국방·안보 분야에서 상용화를 목표 중이다.
심현철 KAIST(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19일 비행기 매뉴얼을 이해하고 직접 조종까지 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AI 조종사 로봇’을 공개했다.
이 로봇은 이날 항공기 조종석에 착석한 후 다양한 장치를 직접 조작해 비행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조종석은 전혀 개조되지 않은 상태다. 특히 기존 항공기의 자동비행장치(오토파일럿)나 무인 항공기보다 기술적으로 우수하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연구팀은 “인간 조종사는 전 세계 항공차트를 전부 기억할 수 없지만 조종사 로봇은 이를 전부 기억해 조종할 수 있다”며 “특히 챗GPT 기술을 적용해 항공기 조작 매뉴얼과 비상 대처절차를 담은 자료를 기억해 항공기를 인간보다 더 안전하게 조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기존 로봇이 고정된 위치에서 반복 작업만 할 수 있다면, 조종사 로봇은 장착된 카메라로 조종석 내부와 항공기 외부 상황을 파악하고 각종 스위치를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다. 고정밀 ‘강인 제어'(불확실한 시스템을 견고히 제어) 기술을 적용해 진동이 심한 항공기 내부에서도 로봇 팔과 손을 정밀 제어할 수 있다.
조종사 로봇은 현재 비행 조종 시뮬레이터에서 항공기 시동부터 이착륙, 순항, 주기 등 모든 조작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조종사 로봇을 실제 경비행기에 적용해 항공기를 직접 조종해 검증할 계획이다.
심 교수는 “이번 기술 개발은 기존 항공기를 전혀 개조하지 않고 즉각 활용할 수 있어 실용성이 매우 높다”며 “항공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장갑차 등 다양한 장치 조작도 가능해 병력자원 고갈이 심각한 현 상황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부터 심 교수를 비롯해 주재걸 KAIST 김재철AI대학원 교수, 윤국진 KAIST 기계공학부 교수, 김민준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협업으로 개발되고 있다. 개발 완성 시점은 2026년이며 민간과 군용 활용을 목적으로 사업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