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연이율 4.15%의 고금리 저축계좌를 출시했다. 출시 나흘만에 24만개의 계좌가 신설됐고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의 예금이 몰렸다. 애플이 내건 이율이 미국 평균 이자율의 10배가 넘는데다, 계좌 개설 수수료나 최소 예금 요건 등이 없는 간편함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애플의 은행회사 변신’이라고 분석했다. 애플이 막대한 자금력과 팬을 바탕으로 전통 금융권과의 한 판 승부를 벌이기 위한 준비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런 애플의 생각은 다르다. 애플이 금융 서비스를 내놓는 이유는 은행업으로의 변신이 아니라, 애플 생태계 강화이기 때문이다.
당장 이번에 내놓은 저축계좌 역시 ‘은행으로의 변신’이라기엔 확장성 없는 폐쇄적 서비스이다. 애플에서 몇 년 전 내놓은 카드 서비스인 ‘애플 카드’를 이용해야만 저축계좌에 가입할 수 있다. 애플 카드는 애플의 전자지갑 서비스 ‘애플 웰렛’이 있어야 발급이 가능하고, 애플 월렛은 아이폰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결국 애플의 하드웨어 제품을 이용해야 애플의 금융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럼 반대로 애플은 저축계좌 출시를 통해 뭘 더 얻을 수 있을까? 수십억 달러의 예치금으로 얻을 금융수익을 어디에 사용하게 될까? 애플은 막대한 자금을 다시 기술개발에 투자할 전망이다. 다른 기업들은 엄두도 못 낼 전략으로 강력한 성능의 제품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성능이 좋아지면, 자연스레 제품의 가격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애플 팬들에게도 비싸지는 제품은 부담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애플이 꺼내든 것이 ‘BNPL’이다. ‘Buy Now Pay Later’의 줄임말인데, 결제 업체가 판매자에게 미리 대금을 지급하고 고객은 결제 업체에 주 단위로 상환하는 방식이다. 신용카드 할부와 비슷하지만 신용조회나 이자가 없다.
주급, 혹은 2주에 한 번 임금을 받는 미국에서 각광받는 결제 방식인데, 신용카드 발급이 쉽지 않은 사회 초년생들에게 특히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애플 역시 ‘애플 페이 레이터’를 출시해 애플의 제품을 구입할 때 총 6주에 걸쳐 대금을 나눠 지급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애플의 최신 제품을 더 많이 판매해 점유율을 높이는 셈이다.
이 외에도 애플은 ‘애플캐시’, ‘애플페이’, ‘애플 먼슬리 페이’를 비롯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애플의 생태계를 강화하는 중이다.
※ 전자제품 회사인 애플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해 생태계를 강화하는 자세한 방법이 궁금하다면 영상을 시청해주세요. ‘티타임즈TV’에 오시면 더 많은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