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f0f2c527-b458-4dc1-8182-eb6a180b101d.jpeg)
국토교통부는 도로정책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는 「도로 교통량 조사 통계」 결과를 4월 27일(목) 발표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요 내용을 보면 ’22년 전국 평균 일교통량은 15,983대로 전년 대비 1.5%, 최근 10년간 (’13~’22년) 총 1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20년을 제외하고 평균 일교통량은 매년 꾸준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자동차 등록대수(’13년 대비 31.5%↑)와 국내 총생산(’13년 대비 25.7%↑)의 지속적 증가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참고 : (평균 일교통량) 전체 교통량 조사 대상 도로 구간(고속국도, 일반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중 임의의 지점에서 1일 교통량을 조사했을 때 예상되는 교통량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e2591edf-7034-490e-9caa-eaaccd694b4f.jpeg)
차종별 평균 일교통량은 각각 전체(15,983대/일) 대비 승용차 72.8%, 화물차 25.3%, 버스 1.9%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년 대비 승용차는 1.6% 증가, 버스 27.8% 증가, 화물차는 0.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f5f6e935-eaef-446d-857f-cd2fa96919a9.jpeg)
특히, 버스의 평균 일교통량은 전년(234대/일) 대비 65대 증가해 27.8%의 상승률을 보였는데, 이는 코로나-19 이후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대중교통, 전세버스 등 단체 이동수단 이용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3d9aaf47-fb19-467c-abe0-34852624eb9f.jpeg)
도로의 종류별 평균 일교통량은 전년 대비 고속국도는 2.2% 증가, 일반 국도는 0.7% 증가한 반면, 국가지원지방도*는 4.0% 감소, 지방도는 3.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참고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중 주요 도시, 공항, 항만 등을 연결하고, 국가 주요 도로망을 보조하기 위해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이 지정된 도로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27f5f580-0e9b-4c2c-9301-08adf9d2b974.jpeg)
지역 간 주요 간선도로의 기능을 갖는 고속국도와 일반국도의 평균 일교통량은 ’21년에 이어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국가지원지방도와 지방도의 평균 일교통량은 코로나-19 이후 교통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의 구간별 교통량을 분석한 결과, 고속국도는 수도권 제1순환 고속국도(남부)의 하남-퇴계원 구간이 216,198대, 일반국도는 77호선 서울시 -장항IC 구간이 193,062대로 가장 많았다.
2021년 가장 높은 평균 일교통량을 보였던 경부고속국도 신갈-판교 구간은 평균 일교통량이 2.3% 감소해 2022년에는 5위에 그쳤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0ea29fb5-040a-4a74-b9d7-711ed4bfd0ab.jpeg)
지역별 평균 일교통량은 전년 대비 강원도, 충청북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는 증가, 제주도와 경상북도는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제주도는 평균 일교통량 감소율이 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단체 이동수단인 버스의 평균 일교통량은 56.1% 증가한 반면, 승용차는 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b232c95e-6f84-4649-ad99-9ec951e50fd2.jpeg)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도로 교통량 통계연보’를 도로, 교통, 국토, 도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자료 및 연구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기관, 연구소, 대학 등에 배부할 예정이다.
이 자료는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tat.molit.go.kr)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교통량 정보 제공시스템(http://www.road.re.kr)을 통해서도 4월 27일(목) 오후 6시부터 확인할 수 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c1081d09-61aa-45b0-be14-239e3c08d197.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c1db4933-b818-4ad1-917a-56c1407d42d8.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e481b716-e927-4451-8fd5-1b3a2df36c71.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85fb3f62-d974-46c1-94b8-d5e21288202f.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880fb9a5-e105-46a5-a21f-0f65618f3acd.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39565407-0aec-40cc-bf2d-cd7fc5822c44.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d59e188d-3b4d-46fc-b549-4fefd9609451.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c54fc9a5-de33-4aa0-9094-857327f69773.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bb127954-57d0-419a-bef8-04c27c0b53da.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99412b41-5856-483c-9ffc-671e96444d84.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9ff454bb-1252-486d-8a12-5071e25bdaf1.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9b299632-5967-4e15-b5cd-896597d1c73e.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05/CP-2022-0186/image-6584173b-a3c6-4a99-a68b-4f500a3ac756.jpe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