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에는 원페달 드라이빙이라는 운전방식이 존재한다. 기존 내연기관차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기능인데, 회생제동이 장착된 전기차 고유 기능이다. 회생제동이란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일종의 발전기능이다.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흘려넣으면 모터가 동작하고 주행 도중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면 돌고 있는 모터를 활용해 반대로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때 속력이 줄어드는데, 회생제동이 강하게 걸리면 정차까지도 가능하다. 현대차의 경우 회생제동 단계 조절 역할을 하는 패들쉬프트를 당기고 있으면 회생제동이 최대치로 걸리면서 정차에 도움을 준다. 즉, 원페달 드라이빙은 브레이크 페달 사용 없이, 회생제동 기능만으로 감속, 정차를 하는 운전 방식으로 보면 된다.
[글] 이안 에디터
원페달 드라이빙을 제대로 사용하면 감속 및 정차 시 회생제동 기능이 지속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배터리 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덕분에 제원상 주행거리보다 더 먼 거리를 주행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 마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유지보수 및 충전비용 절감면에서 봤을 때 활용가치가 높은 기능이다.
그러나 원페달 드라이빙 기능을 완벽히 다룰줄 아는 운전자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브레이크를 밟아 제동을 하는 방식과 감각이 다르기 때문이다. 브레이크는 필요한 때에 페달을 밟는 세기를 조절해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거나 원하는 속도로 빠르게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회생제동은 몇 가지 단계로 세기가 나뉘는게 전부다. 회생제동 단계에 따른 제동 성능을 완전히 숙지하고 있지 않으면 원페달 드라이빙만으로 원활하게 멈추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회생제동 만으로 완벽하게 멈추기 어렵다. 원페달 드라이빙에 너무 익숙해지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를 놓쳐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이로 인한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즉, 조작실수에 따른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이번 이슈에 대해 일각에서는 회생제동 기능보다 이를 다루는 사람이 문제라는 점을 강조한다. 원페달 드라이빙에 익숙해진 나머지 가속페달을 브레이크로 오인해서 교통사고를 내거나 브레이크를 밟아야 할 때를 놓치는 문제는 기능적 결함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즉, 전기차에 대한 특성을 완전히 숙지하지 않고 회생제도 기능에 의지해 운전을 하다보니 사고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간혹 회생제동 기능이 꺼지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이는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 되었을 경우 불필요한 충전을 차단하는 것이다. 테슬라를 비롯해 현대차 등 거의 모든 전기차에 적용되어 있는데 이러한 사실을 모를 경우 갑자기 미끄러지듯 타력주행을 하는 전기차에 당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밖에 일정 수준 이상의 경사로에서는 회생제동을 활용해서 정차를 해도 차가 밀릴 수 있다.
위 내용을 종합했을 때 전기차 차주일 경우 차량 매뉴얼을 숙지할 필요가 있겠다. 내연기관차와 주행 특성이 다른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이해 없이 단순히 운전만 하면 사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과거 전남 순천과 대구에서 전기차 택시 교통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다. 각각 13중, 14중 추돌사고로 엄청난 피해를 입혔는데, 전기차 급발진이라는 주장과 원페달 드라이빙 오인 사고라는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경찰 및 관련 기관의 정밀 검사 결과가 나와봐야 정확히 알겠지만, 네티즌 사이에서는 원페달 드라이빙을 사용하다 사고를 낸 것 아니냐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위의 사례 외에도 전기차주들 사이에서는 해당 기능 사용이 익숙하지 않아 사고를 낼 뻔했다는 경험담이 올라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전기차 급발진 의심사고 관련 원인은 명확히 밝힐 수 있을까? 아쉽게도 어려운 상황이다. 전기차가 본격적으로 보급된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인파악과 예방 방법 등을 위한 기술적인 대책이 완벽히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내연기관차에서도 급발진 의심사고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 상황에 전기차는 없다고 보장할 수가 없어,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커져만 가고 있다.
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다. 때문에 크고 작은 한계를 꾸준히 수정하며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힘써야 한다. 혹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전기차 역시 마찬가지다. 평소 운전패턴을 고려했을 때 결코 나올 수 없는 급가속 상황이 발생했다면 강제로 제동하는 등의 안전 기능이 등장할 필요가 있다. 그 원인이 실제 급발진이 아닌, 운전자 실수더라도 말이다.
“무조건 알아야죠” 전기차 오너들 잘못 썼다가 오열하는 ‘이 기능’의 정체
글 / 다키포스트
ⓒ DAKI PO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콘텐츠 관련 문의 : dk_contact@fastlabs.co.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