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경쟁이 격화된 가운데 일본 자동차 업계는 ‘거북이’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하이브리드 전략 고수와 전동화 전환 후 일본 내 일자리 감소 우려로 정부 측 대응이 늦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의 자동차 수출은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성장세가 무섭다. 지난해 1~11월 일본 자동차 수출대수는 약 320만대다. 이는 2021년 382만대 수출보다 줄어든 수치다. 반면 중국은 전년 대비 54.4% 증가한 311만대로 독일(261만대)을 제치고 자동차 수출대수 2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230만대를 기록해 전년 대비 13.3% 증가했다.
중국의 성장세를 뒷받침한 것은 전기차다. 신에너지차(NEV·순수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두 포함) 수출은 전년 대비 120% 증가한 68만대로 전체 자동차 수출의 21.8%를 차지했다. 수출지역도 변화했다. 중국 자동차 수출은 주로 1인당 소득이 낮거나 정치적으로 가까운 곳을 위주로 이뤄졌었다. 최근에는 친환경차를 통해 유럽시장 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2016년 수출국에는 이란·인도·베트남이 1∼3위에 올랐지만, 지난해에는 벨기에·칠레·호주·영국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일본은 전기차 시장에서 맥을 못추고 있다. 토요타는 지난해 신차 판매대수 1048만대로, 세계 1위에 올랐다. 하지만 전기차 시장에서는 미국 테슬라, 중국 비야디, 현대차·기아에 밀려 상위 10대 기업에도 들지 못했다. 판매량은 2만4466대였다. 혼다 역시 지난해 유럽 10개국 전기차 판매 현황을 보면 1273대를 판매해 점유율 0.1%에 그쳤다.
이같은 전동화 과정에서 일본도 뒤늦게 전기차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혼다가 가장 적극적이다. 이들은 전기차 전담부서인 ‘BEV 개발센터’ 신설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내연기관차 부서에서 전기차 개발 인력을 분리한다. 또 소니와 공동 개발한 첫 전기차 아필라를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2023에서 선보였다. 토요타도 14년 만에 사장 교체를 했으며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기존 전기차 플랫폼은 내연기관·하이브리드차와 구조를 일부 공유했었다.
그럼에도 일본 자동차 업계의 전동화 속도는 느리다는 평가다. 가장 적극적인 혼다마저도 국내에는 2026년에나 첫 전기차가 들어올 예정이다. 토요타는 2030년까지 전기차 글로벌 판매대수를 350만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는 지난해 판매량의 143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7년 만에 이같은 수치를 기록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다.
일본 자동차 업계는 그동안 하이브리드 성공에 도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토요타의 하이브리드차 ‘프리우스’가 1997년 10월 첫선을 보인 후 10년만에 전세계 누적 판매대수 100만대를 돌파했다. 2017년 1월에는 1000만대를 돌파했다. 프리우스는 하이브리드차의 ‘대명사’로 불렸다. 이후 혼다(인사이트) 등 일본 업계는 앞다퉈 하이브리드차량 생산에 집중했다.
이같은 일본 업계의 성공으로 세계 최초의 상용 전기차(닛산 리프)를 생산했던 이들이 무리해서 전기차를 생산할 이유가 없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하이브리드 차 전략이 성공함과 동시에 일본 문화 특유의 ‘배타성’이 이들의 전동화 전환을 늦췄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의 전기차에 대한 국가적 대응이 늦은 것도 한몫했다. 전기차 생산에 따른 일자리 감소를 우려한 당국의 소극적 정책이 일본 업체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전기차 생산이 늘수록 내연기관·하이브리드 차에 비해 공정이 짧아지거나 부품 수가 줄어든다”고 밝혔다.
한국도 전기차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의 지난해 자동차 수출량은 전년 대비 늘었지만, 순위는 5위에서 6위로 내려앉을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수출도 21만대로 전체 자동차 수출 11% 비중을 차지해 점차 늘고 있지만 세제 혜택 등은 여전히 부족하다. 국내에선 전기차 공장은 일반 제조기술로 분류한다. 투자액 공제율은 1%에 머무른다. 반면 미국은 30% 이상 공제된다. 또 반도체,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은 국가전략기술로 분류돼 대기업의 경우 15%까지 세액공제를 해주지만 전기차를 비롯한 자동차 산업은 해당되지 않는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