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에게 위험한 계절
사고를 줄이는 운전 방법
ESC, 끄는 게 효율적인가?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21227/eb436196-c3c5-43f9-b36e-6cbafe631b75.jpeg)
한국은 어떤 국가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계절 환경을 가지고 있다. 최근 광주와 제주도 등 여러 지역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리기도 했고, 서울에서는 지난번 눈이 내린 뒤 길이 얼어 빙판길과 같은 도로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렇게 눈이 쌓여 있거나 얼음이 있는 도로는 운전자에겐 너무 위험한 환경이다.
일부 운전자 중에서는 눈길에서 자동차 기능 중 ‘ESC’, 즉 차량 자세 제어 장치’를 눈길에서 끄고 주행을 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한다. 이들은 종종 반대 의견을 가진 운전자들과 대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그렇다면 이들이 주장대로 눈길 주행 중 ESC를 끄는 것이 정말 안전한 것일까?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ESC는 어떤 역할을
하는 장치인가
ESC는 자동차의 ‘차체 자세 제어 시스템’으로 불리는 약자로 VDC, DSC, ESP 등으로 불리고 있다. 해당 시스템의 역할로는 자동차가 어떤 방향으로 나가는지에 따라 브레이크와 엔진 출력 등을 제어해 자동차가 미끄러지거나 전복되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하는 일을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 시 ECS는 큰 관여를 하지 않지만, 빗길이나 눈길과 같은 곳에서 운전자가 급격하게 회피기동을 할 때 차량의 밸런스를 잡아주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능으로 전문가들은 ESC에 대해 “미끄러운 도로에선 ESC만큼 중요한 안전 시스템은 없다”면서 자동차 안전 시스템에 대해 강조했다.
눈길에서 ESC를
끄고 달리면?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21227/4aa0d52a-3bef-4595-83d8-16eee4bbbd06.jpeg)
일부 운전자 중에서는 눈길에서 ESC를 끄고 주행해야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단 눈이 높게 쌓이고, 바퀴가 눈에 빠졌을 때만 사용한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운전자들은 눈길 자체에서는 ESC를 꺼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옳지 않은 주장이다.
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눈이 깊게 쌓여 있는 상황이 아닌 블랙아이스와 같은 빙판길에선 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면서 “만약 ESC를 끄고 빙판길에서 주행한다면, 직진성 때문에 언더스티어나 오버스티어와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즉 빙판길에서 ESC를 끄고 달리는 행위는 차량의 안전장치를 끄고 달리는 것으로 운전자는 더 위험한 환경에서 주행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사실상 ESC는
켜 놓는 게 좋다
사실상 운전자는 ‘ESC OFF’ 버튼을 누를 일이 거의 없다. 앞서 말한 대로 ESC는 미끄러운 노면에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업계 전문가들은 “진흙탕에 빠지거나 눈길이 아닌 경우가 아니고서야 ESC를 끄는 행위는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ESC가 모든 상황에서 운전자를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적재적소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일부 차량에서는 ESC가 없는 차량이 있기도 하지만 유로엔캡과 IIHS에서는 모든 차량에 대해 ESC 필수 탑재를 권장하고 있는 추세다. 실제로 요즘 신차들에서는 ESC가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고, 제조사에서도 차량 제조 시 운전자가 직접 끄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
ESC 이외에도
겨울용품을 준비해야 해
겨울철에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ESC가 켜져 있는지와 꺼져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겨울용 타이어를 사용해 물리적으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자동차에서 직접적으로 노면과 닿는 것이 타이어인데, 빙판길과 같은 곳에서는 접지력을 높일 수 있는 체인과 체인 스프레이 등이 있다. 그 밖에도 눈길 주행 시 일반 속도보단 낮은 속도로 주행해야 하며, 차간 거리도 평소보다 충분히 더 확보해야 큰 사고를 대비할 수 있다.
겨울에 유독 운전자가
주의해야 하는 이유
앞서 설명한 ESC는 미끄러운 도로 환경에 대한 대처 방법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겨울철은 다른 계절보다 낮은 기온에서 운행되기 때문에, 차량에 치명적인 상황들이 벌어지게 된다. 대표적으로 자동차의 배터리가 낮은 기온으로 인해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최근 도로에 많은 전기차들이 많이 발견되는데, 겨울철 전기차와 내연기관 차량에 있는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도록 가급적 실내주차를 권장하고 있다.
또한 차량에 많은 눈이 쌓일 경우 차량 앞 유리와 차량 지붕에 눈을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쌓인 눈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는 물론 다른 운전자에게 눈이 날아갈 경우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렇듯 겨울철에는 반드시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꼼꼼히 체크해야 하고, 도로 환경을 파악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