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美관세 리스크에 車제조사 현지생산, 부품사 발만 동동

IT조선 조회수  

대한민국 자동차부품 업계가 지난해 대미 수출액 최대치를 달성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가 공식화되면서 업계가 일제히 긴장하고 있다.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전경. / 현대자동차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전경. / 현대자동차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한국무역협회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82억2200만달러(약 11조7286억원)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미 수출액은 2021년 69억1200만달러(약 9조8620억원)에서 2022년에는 80억3000만달러(약 11조4572억원), 2023년 80억8700만달러(약 11조5385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전체 자동차부품 수출액 225억4700만달러(약 32조1745억원)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6.5%로 가장 컸다. 이어 ▲유럽연합 17.3% ▲멕시코 9.5% ▲중국 6.4% 아세안 5.8% ▲인도 4.1% 순이었다. 이 같은 비중은 한국 완성차 수출과 궤를 같이한다. 지난해 대한민국의 완성차 수출액은 707억8900만달러(약 101조159억원)였으며 미국의 비중은 49.1%로 가장 높았다.

미국은 한국 자동차 산업의 최대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에 따라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현대자동차그룹은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생산화 전략을 대안으로 내세웠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미국 현지 생산량을 기존 70만대에서 120만대로 50만대 이상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지 공장별 수정된 목표 연간 생산량은 ▲현대차 앨라배마공장 36만대 ▲기아 조지아공장 34만대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50만대 등이다.

메리 바라(Mary Barra) GM 회장 겸 CEO(왼쪽)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 현대차그룹
메리 바라(Mary Barra) GM 회장 겸 CEO(왼쪽)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 현대차그룹

현지 공장 생산량 확대에도 현대차그룹은 170만대에 달하는 미국 수출 물량을 전부 충당하기 힘들다. 이에 회사는 미국 완성차 제조사인 제너럴 모터스(GM)과 전략적 협력을 맺었다. GM의 현지 생산 네트워크를 활용해 나머지 물량을 채우겠다는 전략이다.

현대차그룹은 3월중 글로벌 생산 시설과 공급망을 공유하는 1차 포괄적 협력 방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양사는 미국 공장을 포함한 해외 생산망을 공유해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논의가 완료되면 현대차그룹은 GM의 현지 공장을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부품 업계는 관세 후폭풍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완성차 제조사의 현지 생산 물량 증가와 현지 부품 조달 등으로 공장 가동률이 감소할 것이라는 것이 업계 시각이다.

부품업계 한 관계자는 “부품사는 완성차 업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관세 리스크에서 자유롭기 힘들다”며 “완성차 제조사가 현지 생산 물량을 늘릴 경우 대미 수출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고 현지 부품 조달 비중이 증가할 경우 국내 부품 업체는 현지 공장 설립 등 추가 투자의 부담이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그나마 현지 공장을 이미 보유하고 있거나 추가 공장 건립 여력이 있는 현대모비스와 HL만도, 한온시스템 등 1차 협력사들은 어느 정도 대응이 가능한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한온시스템은 미국과 유럽 등 21개국에 50개 공장을 확보하면서 지역별 대응 전략을 구축한 상태로 알려졌다. 현대모비스 역시 미국에 생산 공장을 갖추고 있어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조감도. / 현대자동차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조감도. / 현대자동차

하지만 중소 규모인 2, 3차 협력사들은 고스란히 피해를 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생산 기지 구축에 필요한 투자 여력이 없어서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자동차 부품 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중 2차 협력사는 952개사며 3차 협력사는 무려 9526개사에 이른다. 업계 관계자들은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지 못한다면 경영난 심화는 물론 심한 경우 도산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부품 업계 전문가는 “미국의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지 생산화가 불가능한 중소 규모 협력사의 경우 감소한 물량을 채울 수 있는 신규 거래선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역시 자동차 부품에 한해서 관세를 면제할 수 있도록 미국 행정부와 긴밀한 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인학 기자

ih.heo@chosunbiz.com

IT조선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차·테크] 랭킹 뉴스

  • “순이익 462억 달성”.. 20년 만에 빛을 보는 국산차 브랜드
  • 벤츠 e클래스 중고차 시세(24년 9월) 현재가, 구입 꿀팁 공개
  • 체어맨 중고차 가격(24년 9월), 시세는 이렇게 바뀌었다
  • 2024 아이오닉5n 가격, 예고된 변화는?
  • [포모스 한줄평]2월 신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 외 3종
  • 넥슨 '카잔'·크래프톤 '인조이' 글로벌 겨냥 K게임 3월 출격

[차·테크] 공감 뉴스

  • 구광모 회장 최측근 ‘권봉석‧홍범식’, LG유플 AI 수익화 총력전
  • “모터사이클의 전설을 담았다”.. BMW가 공개한 역대급 신차, 그 정체는?
  • “카니발과 비교 불가?” .. 승차감·연비·공간 모두 압도한 이 차의 ‘정체’
  • “다른 사람과 시야 공유부터 3D 게임까지”… XR 안경 신제품·신기술 MWC 2025서 대거 공개
  • 방산 혁신클러스터·KIDA 등 유치에 행정력 집중…'논산·계룡 첨단국방' 거점 조성
  • [핸즈온] PC버전 그래픽 '굿'...갓게임으로 돌아온 '다키스트데이즈'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php echo do_shortcode('[yarpp]'); ?>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尹 오늘 최후진술…"한강 피바다""국힘 해체" 극단으로

    뉴스 

  • 2
    "키움 시절이면? 못하죠" 용기 낸 이정후, 화답한 류지현 감독…韓 야구계 변화 불러일으킬까? [MD스코츠데일]

    스포츠 

  • 3
    ‘결혼지옥’ 어른아이 부부, 도박 중독 남편 왜? [TV온에어]

    연예 

  • 4
    ‘이젠 사랑할 수 있을까’ 박형준·CEO 손보미, 통했다 [TV온에어]

    연예 

  • 5
    양산 원동 매화축제 2025 마을 주차 할리스카페 포토존

    여행맛집 

[차·테크] 인기 뉴스

  • “순이익 462억 달성”.. 20년 만에 빛을 보는 국산차 브랜드
  • 벤츠 e클래스 중고차 시세(24년 9월) 현재가, 구입 꿀팁 공개
  • 체어맨 중고차 가격(24년 9월), 시세는 이렇게 바뀌었다
  • 2024 아이오닉5n 가격, 예고된 변화는?
  • [포모스 한줄평]2월 신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 외 3종
  • 넥슨 '카잔'·크래프톤 '인조이' 글로벌 겨냥 K게임 3월 출격

지금 뜨는 뉴스

  • 1
    미국vs 중국, 대만해협 워게임 결과는…“美 스텔스 미사일에 中 주력 구축함 초토화”[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뉴스&nbsp

  • 2
    서프라이즈! 집안싸움…서강준VS강태오, 인연에 우연을 더해 [MD포커스]

    연예&nbsp

  • 3
    "어떻게 결합할까나"… 1인당 'OTT 2개 구독' 시대

    뉴스&nbsp

  • 4
    이래서 김재호 후계자라 불리는가…베어스 101승 레전드 좌완도 반했다 "박준순, 적극적인 스윙&날렵한 풋워크 돋보여"

    스포츠&nbsp

  • 5
    '신민철♥' 원더걸스 혜림, 아들 둘 공개…붕어빵 첫째와 뽀뽀샷→'아빠 질투하겠네!'

    연예&nbsp

[차·테크] 추천 뉴스

  • 구광모 회장 최측근 ‘권봉석‧홍범식’, LG유플 AI 수익화 총력전
  • “모터사이클의 전설을 담았다”.. BMW가 공개한 역대급 신차, 그 정체는?
  • “카니발과 비교 불가?” .. 승차감·연비·공간 모두 압도한 이 차의 ‘정체’
  • “다른 사람과 시야 공유부터 3D 게임까지”… XR 안경 신제품·신기술 MWC 2025서 대거 공개
  • 방산 혁신클러스터·KIDA 등 유치에 행정력 집중…'논산·계룡 첨단국방' 거점 조성
  • [핸즈온] PC버전 그래픽 '굿'...갓게임으로 돌아온 '다키스트데이즈'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추천 뉴스

  • 1
    尹 오늘 최후진술…"한강 피바다""국힘 해체" 극단으로

    뉴스 

  • 2
    "키움 시절이면? 못하죠" 용기 낸 이정후, 화답한 류지현 감독…韓 야구계 변화 불러일으킬까? [MD스코츠데일]

    스포츠 

  • 3
    ‘결혼지옥’ 어른아이 부부, 도박 중독 남편 왜? [TV온에어]

    연예 

  • 4
    ‘이젠 사랑할 수 있을까’ 박형준·CEO 손보미, 통했다 [TV온에어]

    연예 

  • 5
    양산 원동 매화축제 2025 마을 주차 할리스카페 포토존

    여행맛집 

지금 뜨는 뉴스

  • 1
    미국vs 중국, 대만해협 워게임 결과는…“美 스텔스 미사일에 中 주력 구축함 초토화”[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뉴스 

  • 2
    서프라이즈! 집안싸움…서강준VS강태오, 인연에 우연을 더해 [MD포커스]

    연예 

  • 3
    "어떻게 결합할까나"… 1인당 'OTT 2개 구독' 시대

    뉴스 

  • 4
    이래서 김재호 후계자라 불리는가…베어스 101승 레전드 좌완도 반했다 "박준순, 적극적인 스윙&날렵한 풋워크 돋보여"

    스포츠 

  • 5
    '신민철♥' 원더걸스 혜림, 아들 둘 공개…붕어빵 첫째와 뽀뽀샷→'아빠 질투하겠네!'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