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6,293만 원 할인… 아우디의 과감한 승부수
판매 부진 만회 전략? 브랜드 가치 훼손 우려도
신차 출시·서비스 개선으로 반격 노린다

국내 수입차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한때 BMW, 벤츠와 함께 ‘독일 3사’로 불리던 아우디가 최대 6,293만 원 할인이라는 파격적인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이 같은 할인율은 국산 준대형 세단인 현대차 그랜저 풀옵션 모델(약 5,900만 원)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소비자들에게는 매력적인 구매 기회지만, 일각에서는 아우디의 브랜드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최대 6,293만 원 할인… “지금이 기회?”

자동차 구매 정보 플랫폼 ‘겟차’에 따르면, 올해 2월 수입차 할인율 상위 10개 모델 중 아우디 차량이 무려 5개나 포함됐다.
가장 큰 할인율을 기록한 모델은 고성능 전기 스포츠카 ‘RS e-트론 GT’다. 출고가 2억 632만 원에서 6,293만 원(30.5%)이 할인돼 1억 4,339만 원에 판매되고 있다.
이 외에도 ‘e-트론 GT 콰트로’는 4,371만 원(30.5%) 할인돼 9,961만 원에 구매할 수 있으며, 준대형 세단 A6의 ‘45 TFSI 프리미엄’ 모델도 1,606만 원 할인돼 6,564만 원에 판매 중이다.
소형 세단 A3 40 TFSI 역시 435만 원 할인돼 3,917만 원까지 가격이 낮아졌다.
판매 부진 만회? 브랜드 가치 논란

아우디의 대규모 할인 정책은 최근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이 하락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한때 수입차 시장 3위를 지키던 아우디는 2024년 들어 판매량이 9,124대로 급감하며, 볼보와 렉서스에도 밀려 6위까지 떨어졌다. 전기차 시장에서의 전략 부재, 고객 서비스 불만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판매량을 끌어올릴 수는 있겠지만, 브랜드 가치 하락과 중고차 가격 하락 등의 부작용도 고려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그동안 가격 거품이 많았던 것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신차 출시·서비스 강화로 반격 나서나

아우디코리아는 이번 할인 공세와 함께 브랜드 재정비에도 나섰다.
올해 Q 시리즈 등 SUV 중심의 신차 16종을 출시해 점유율 회복을 노리고 있으며, 고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형 전시장 대신 쇼핑몰 기반의 ‘씨티몰 전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고객 서비스 개선을 위해 AS 센터를 기존보다 37곳으로 늘려 수도권 내 30분 이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스티브 클로티 아우디코리아 사장은 “단순한 판매량 증가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성장에 집중할 것”이라며 장기적인 브랜드 전략을 강조했다.
반짝 반등일까, 재도약의 신호탄일까

아우디의 대규모 할인 정책이 단기적인 판매량 증가로 이어질지, 브랜드 가치 훼손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지는 미지수다.
신차 출시와 서비스 개선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지, 아니면 단기적인 반짝 반등에 그칠지는 앞으로의 시장 반응과 판매 추이에 달려 있다.
아우디의 승부수가 성공적인 반격이 될지, 또 다른 위기의 시작이 될지 지켜볼 일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