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호출 플랫폼 우버 택시는 20일 서울 중구 소재 더 플라자 호텔에서 리브랜딩 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 ‘우버 택시 커넥트데이’를 열었다. 간담회를 통해 리브랜딩 이후 주요 성과와 2025년 성장 전략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송진우 우버 택시 코리아 총괄은 “지난해 리브랜딩 이후 배차 성공률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며 “그 결과 서울에서 3분 이내 배차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등의 성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우버 택시는 지난해 3월 UT에서 ‘우버 택시‘로 리브랜딩하며 글로벌 우버 브랜드와 연계성을 강화했다.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해 인지도를 높이고 실질적인 성장을 달성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우버 택시는 2024년을 기준으로 전년 대비 이용 건수는 50% 이상 늘었고 가맹 기사 수는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송 총괄은 “리브랜딩 이후 브랜드 인지도 강화를 위해 주요 지역 차량 래핑, 공항·기차역 옥외 광고, 파트너십 확대 등 마케팅을 전개했다”고 말했다. 그 결과 해외에서 우버를 이용해 본 경험이 많고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에 익숙한 젊은 소비층을 중심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졌고, 이 것이 회사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는 게 송 총괄의 설명이다.

송 총괄은 우버 택시 앱의 직관적인 사용성과 해외 연결성에 대해 강조했다. 우버 택시 앱의 경우 사용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사용자 경험(UX·User Experience)를 적용하고 있다. 우버 택시 앱을 실행하면 초기 화면에 목적지를 입력하고 배차 신청이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이와 함께 인천공항 택시 승차 안내 등을 도입해 외국인 관광객 이용률을 높였다.
송 총괄은 “외국인을 위한 공항 안내 기능으로 외국인 이용객이 크게 늘었다”며 “현재 인천공항에 도착하는 전체 외국인 중 10%가 우버 택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우버 택시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반으로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더 넓은 지역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송 총괄은 “우버 택시 이용자들에게 올해 ‘우버가 한국에서도 운행 중이다’와 ‘우버는 빠르게 배차가 가능하다’, ‘가격 경쟁력이 높다’는 피드백을 받는 것이 목표다”며 “이를 위해 다양한 수요를 반영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용자와 택시 업계 양쪽에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해 국내 모빌리티 시장과 함께 성장하고 택시 산업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우버 택시는 기업 간 거래(B2B) 서비스인 ‘우버 포 비즈니스(Uber for Business, 이하 U4B)’를 한국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U4B는 외근·출장 등 업무 이동에 최적화된 차량 서비스와 경비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 전용 모빌리티 솔루션이다. 회사 설명에 따르면 현재 코카콜라, 삼성, 혼다, 줌 등 포춘 선정 500대 기업 중 절반 이상이 U4B를 이용하고 있다.
곽동원 우버 포 비즈니스 팀장은 “U4B는 전 세계에서 추가 설정과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다”며 “출장 중 이동 및 음식 배달부터 비용관리까지 업무 이동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라고 말했다.
우버 택시는 U4B 외에도 올해 상반기 내 ‘프리미엄 밴’ 서비스와 가족 구성원의 택시 여정을 공유받는 ‘가족 공유 서비스’, ‘여행 및 레저 목적의 상품’ 등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송진우 총괄은 “우버 택시는 한국 소비자들의 다양한 이동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신규 서비스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인학 기자
ih.heo@chosunbiz.com
- 주한 EU 대표부 대사,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둘러봐
- 기아, 목적기반 전기차 ‘PV5’ 외장 디자인 공개
- 쏘카, 작년 4Q 영업익 30억원… 2분기 연속 흑자
- 볼보트럭, 유럽서 대형트럭 점유율 17.9%로 1위
- 동아ST,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품목허가 신청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