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e커머스(C커머스) 테무의 상품 관리가 여전히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 상품 차단, 불법 판매자 퇴출 등 제재 수준을 높여 플랫폼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테무에서는 각종 유해 상품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다. 지난 2023년 8월 한국 시장에 진출한 지 1년 6개월이 지났지만 불법·위조 제품 문제는 전혀 개선되지 않은 모습이다.
전자신문 취재 결과 실제로 테무에서는 국내외 패션 브랜드의 가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남성 의류 카테고리에 접속하자 첫 메인 화면에 코닥어패럴, 엄브로, 다이나핏, 헤드 등 브랜드 로고가 붙은 유사 제품이 5000원~1만원 수준에 판매되고 있었다. 상품을 그대로 베껴 실제 가격의 1/3 수준에 판매하는 이른바 ‘짝퉁’ 제품이다.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욱일기 문양의 제품도 금새 눈에 들어왔다. 욱일기 문양이 들어간 일본 포스터나 액자 상품이 많았고 컵, 자석 등의 굿즈도 판매되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문제 상품들에 대해 “후지산을 활용한 전형적인 욱일 문양”이라며 “한국의 역사나 문화적인 정서도 파악하지 않으면서 시장에 진출해 사업을 전개하겠다는 것은 문제가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최근까지는 북한 체제를 선전하는 상품도 판매했다. 검색창에 ‘북한’, ‘North Korea’ 등을 입력하면 북한 체제를 선전·미화하는 포스터 등이 표출되는 방식이다. 테무는 언론에서 문제가 불거지자 뒤늦게 키워드 검색을 차단한 상태다.
이밖에도 흉기 사용이 우려되는 도검·석궁, 수술용 나이프 등 의료기기 등도 여전히 노출되고 있다. 지난해 정부와 서울시·경기도 등 지자체에서 강조해온 불법·유해 상품 관리가 전혀 개선되지 않은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테무의 자정 노력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쿠팡·네이버 등 국내 e커머스의 경우 현행법 상 안정성을 보증하는 ‘KC인증’ 제품만 판매한다. 불법·유해 상품을 판매할 경우 제품 노출을 중단하고 판매자를 퇴출 시키는 등 플랫폼 생태계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반면 해외 플랫폼인 테무는 KC인증, 유해성 검사를 따로 하지 않을 뿐더러 해외 사업자로서 규제할 법적 근거도 마땅치 않다. 지난해 정부가 테무와 ‘자율 제품안전협약’을 체결해 유해 제품을 즉시 판매 차단하고 있지만 수백만가지 상품을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테무가 국내 시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불법·유해 상품 관리를 위한 의지를 보이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패션협회 관계자는 “국내외적으로 지식재산권(IP)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만큼 IP센터를 통해 상표 도용, 위조 상품 유통 등에 대한 모니터링 역량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며 “테무와 같은 중국 플랫폼 자체적으로 짝퉁 상품이 통용되지 않도록 정책을 강화하는 책임 있는 모습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경하 기자 maxkh@etnews.com
- KTR, 항공우주 필수 ‘아웃가싱’ 시험 장비 개발
- 호서대, 제41회 학위수여식 개최…졸업생 2827명 배출
- “영남대 약학·화학분야와 협력하고 싶어요”…우즈벡, 이학분야 글로벌 연구협력 러브콜
- [에듀플러스][메디테크, 이 기업]①정규진 덴탈비전 대표, “비접촉식 3D 관절 운동 분석 기술 연구…다양한 산업 접목 가능성 커”
- 파우(POW), 태국 ‘래빗 투더 문’ 출연 확정…백현·지코와 한 무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