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에 들어간 지 1년이 지났다. 사직한 전공의 10명 중 9명은 여전히 병원으로 돌아오지 않았고, 대형병원 입원과 수술은 의정갈등 이전의 50~70% 수준에 머물러 있다.
환자 불편이 가장 큰 문제지만 산업계 타격도 만만치 않다. 대형·지역병원 경영난으로 제약·의료기기 산업까지 위축됐고, 인력난으로 임상시험 등 연구 기능은 사실상 마비됐다. 의정갈등이 봉합 국면에 진입하더라도 병원 정상화에 상당 시간이 필요한 만큼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대형병원 ‘흔들’…환자·의사 유출
의정갈등 발발 후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곳은 대형·지역병원이다.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 발표 후 전국 211개 수련병원 전공의는 2024년 2월 20일 오전 6시부로 순차 사직에 들어갔다. 1년이 지났지만 지난 13일 11시 기준 수련병원 전공의 전체 출근율은 8.7%에 불과하다.
수도권 ‘빅5’를 비롯해 전공의 수련을 담당하던 대형병원들은 이들이 빠져나가면서 입원과 수술을 평시 대비 최대 70% 가까이 줄일 수밖에 없었다. 환자가 줄면서 병원 수익도 급감, 탄탄하던 빅5 병원마저 경영난에 처했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 주요 상급종합병원 4곳(서울대·세브란스·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의 지난해 상반기 당기순손실은 2135억1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수치다. 특히 사립대병원 대비 재정이 열악한 전국 국립대병원병원 손실액(4127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155%나 늘어 문제가 더 심각했다.
상급종합병원 진료 차질이 이어지며 환자는 2차병원(종합병원)으로 몰리기 시작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전국 상급종합병원에서 2차병원으로 회송한 외래환자 수는 지난해 1분기 12만5835명에서 3분기 20만7753명으로 65%나 늘었다.
문제는 환자뿐 아니라 의료진도 1~2차 병원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1년째 이어지는 살인적인 업무강도에 버티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종합병원으로 연쇄이동이 일어나고 있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대학병원 전문의뿐 아니라 간호사까지 업무 강도가 크게 늘면서 2차병원으로 이직한 경우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면서 “지난 1년 동안 고된 업무도 영향을 미쳤지만, 사태가 해결되더라도 당장 달라질게 없으니 이직을 고민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보건의료산업 전방위 후폭풍
의약품, 의료기기 분야 최대 수요자이자 연구거점인 병원이 경영난에 빠지면서 보건의료산업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
일시적 풍선효과로 국내 의약품 수요가 늘긴 했지만 수익성이 높은 항암제 등 고가 약품이나 수액, 수술용 의료기기 등 수요는 오히려 줄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의약품 소매 경상금액(판매액)은 31조2367억원을 기록,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30조원을 돌파했다. 코로나19와 독감, 백일해 등 유난히 많았던 전염병 유행이 주요인이다. 이면엔 의정갈등으로 진료가 차질을 빚자 장기처방 환자가 늘어나고 집 안에 상비약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폭발한 게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제약사 입장에서는 의정갈등 상황에서도 의약품 수요가 늘어 다행이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 대부분 약국에서 판매하는 일반의약품이 시장 전체 수요를 견인, 실적 개선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병원 영업 차질부터 고가 항암제, 수액제 등 수요 감소로 득보단 실이 크다고 본다. 실제 지난해 종근당(-59.7%), 대원제약(-19.4%), JW중외제약(-17.8%), 한미약품(-2%) 등 주요 제약사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하락했는데, 의정갈등 영향도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병원 핵심 기능인 연구 기능도 1년째 마비 상태다. 대학교수들이 전공의 업무까지 떠안다 보니 임상시험 등 연구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은 임상시험은 총 937건으로, 2019년 이후 처음으로 1000건 이하를 기록했다. 특히 의사들이 기초단계 임상으로 많이 진행하는 연구자 임상시험은 지난해 총 66건으로 전년(110건) 대비 40%나 줄면서 감소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KMS) 등 주요 저널에 게재된 전국 의대 교수들의 논문들도 전년 대비 20~30%가량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
문제는 의정갈등이 봉합되더라도 현 상황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사직 전공의 복귀가 물건너 가고 올해 상반기 전공의 모집에서도 지원율이 2%에 머무는 등 인력 부족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병원 경영난이 이어지면서 의약품, 의료기기 구매는 보수적인 접근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연구 역시 재개 가능성이 불투명하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소 대표는 “지난해 의약품 수요가 늘었다고 하지만 대부분 약국 판매 제품인 탓에 수익 개선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면서 “올해 역시 병원 상황이 개선될 여지가 크지 않음에 따라 제약사들은 부가적인 수익 창출 방안 모색과 함께 해외 진출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