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서 2관왕 차지
전통 내연기관과 전기차 부문 모두 석권
![뉴 그란투리스모 트로페오 / 출처 = 마세라티](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ce3ea6d6-7191-4016-aacc-227bc26b3e0b.jpeg)
“럭셔리 스포츠카의 정점에 섰다.”
마세라티의 ‘뉴 그란투리스모’가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자동차 어워즈에서 500개 이상의 경쟁 모델을 제치고 럭셔리 스포츠카의 최정상에 올랐다.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전문지 ‘카앤드라이버(Car and Driver)’가 주관하는 ‘2025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즈(Editor’s Choice Awards)’에서 뉴 그란투리스모는 2관왕을 차지했다.
고성능 내연기관 모델인 ‘트로페오(Trofeo)’는 ‘럭셔리 스포츠카(Luxury Sports Car)’ 부문을, 전기차 모델 ‘폴고레(Folgore)’는 ‘전기 럭셔리 스포츠카(Electric Luxury Sports Car)’ 부문에서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이는 엄격한 테스트를 거쳐 500개 이상의 모델을 평가하는 권위 있는 시상식에서 거둔 성과로, 마세라티의 독보적인 디자인과 성능이 다시 한번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이탈리아 감성을 담은 혁신적인 스포츠카
![뉴 그란투리스모 폴고레, 뉴 그란투리스모 트로페오 / 출처 = 마세라티](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91ebb068-3db8-4651-a74e-754d479239ac.jpeg)
뉴 그란투리스모는 이탈리아 모데나에 위치한 ‘마세라티 이노베이션 랩’에서 설계·개발됐으며, 100%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모델이다.
브랜드 특유의 고급스러운 감성과 혁신적인 기술이 결합된 이 차는 전통적인 내연기관과 전기 파워트레인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트로페오는 강력한 엔진과 정교한 핸들링으로 운전의 즐거움을 극대화했다. 반면, 전기 모델인 폴고레는 강력한 가속 성능과 정숙성을 갖춰 친환경 스포츠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뉴 그란투리스모 트로페오 / 출처 = 마세라티](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e1fb2329-6b50-4ed7-9b5c-a79438e74fe7.jpeg)
카앤드라이버는 뉴 그란투리스모 트로페오를 두고 “호화로운 그랜드 투어링 머신의 대명사”라고 평가했다. 폴고레에 대해서는 “가속력만으로도 스피드 애호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모델”이라며 극찬했다.
마세라티 북미 총괄 안드레아 소리아니(Andrea Soriani)는 “카앤드라이버와 같은 권위 있는 매체로부터 영예로운 상을 받아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우아한 디자인과 뛰어난 성능을 갖춘 모델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명성과는 대조적인 한국 시장 성적
![마세라티 / 출처 = 연합뉴스](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b88b3a51-18c2-4b15-881a-0bc2b3fc2689.jpeg)
세계적인 수상 소식과 달리, 마세라티는 한국 시장에서 좀처럼 반등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 법인 ‘마세라티코리아’를 출범하며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지만, 올해 초부터 오히려 판매량이 줄어드는 상황이다.
실제로 마세라티의 1월 국내 판매량은 12대에 그쳤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5% 감소한 수치다. 더욱이 지난해 전체 판매량은 252대로, 2023년 대비 42.2% 하락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마세라티의 부진 요인으로 인기 모델이었던 ‘기블리’와 ‘르반떼’의 단종, 브랜드 인지도 하락, 그리고 법인 차 규제 강화를 꼽는다.
특히, 정부가 8,000만 원 이상 법인 차에 연두색 번호판을 의무화하면서 고가 수입차의 법인 명의 구매가 줄어든 것이 직격탄이 됐다는 분석이다.
또한, 포르쉐 등 경쟁 브랜드가 시장을 장악하면서 마세라티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고 있다.
세계적인 명성을 한국에서도 이어갈 수 있을까?
![뉴 그란투리스모 폴고레 / 출처 = 마세라티](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225/image-8a03dc00-d848-4dfa-885a-e5ca0f9a1e02.jpeg)
뉴 그란투리스모의 ‘더블 크라운’ 수상은 마세라티가 여전히 럭셔리 스포츠카 시장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유지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전통적인 내연기관과 전기차 부문 모두에서 인정받으며 브랜드 가치를 한층 높였지만, 한국 시장에서의 부진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마세라티가 글로벌 명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에서도 반등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실시간 인기기사
- “아빠들 난리 났다” ..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탑재 후 ‘비상’
- “BMW, 벤츠에게 더 이상” .. 판매량 ‘뚝’ 아우디, 새로운 신차로 ‘반전’ 예고
- “이게 정말 전기차?”… 1회 충전 700km, 슈퍼카 뺨치는 성능에 ‘깜짝’
- 삼성 견제? “애플-중국 손잡았다” … 뜻밖의 소식에 업계 ‘술렁’
- “이찬원이 쏜다” … 박현호 ♥ 은가은, 초호화 결혼식 예약
- “백화점 믿고 샀는데” … 대기업의 기만에 소비자 ‘폭발’
- “아빠들 난리 났다” ..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탑재 후 ‘비상’
- “평생을 사랑했다” … 고두심이 첫사랑과 이혼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