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미접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비는 물론 결근 등으로 생산성이 하락하는 만큼 지속적인 백신 접종 필요성이 대두됬다.
모더나코리아는 1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코로나19가 미친 손실과 백신 접종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소개했다.

이한길 아주대 약학대 교수는 이날 행사에서 2023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약 7조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23년 국내 코로나19 환자 발생률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바탕으로 의료비와 생산성 손실을 추정했다.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18세 이상 64세 이하 고용 인구 2516만여명 중 약 980만명이 코로나19로 외래 진료를 받았다. 이 중 약 14만명이 입원했고, 1539명이 사망했다. 이를 토대로 추정한 직접 의료비는 약 1조4000억원이다. 외래 진료비 5400억원, 입원 치료비 2200억원, 후유증 치료비 4500억원을 더한 숫자다.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으로 발생한 생산성 손실은 의료비의 세 배가 넘는 약 5조6000억원이었다. 고용 인구 결근으로 인한 임금 손실을 계산했다. 외래 환자는 평균 5일을 결근했지만, 입원 환자는 평균 25.58일, 장기 후유증 환자(롱코비드)는 약 24.66일을 결근했다.
이 교수는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여전히 막대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아주대 바이오헬스 규제과학과 연구팀은 삼성전자 임직원 1만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 여부에 따른 기업과 임직원 개인의 사회·경제적 영향’도 분석했다. 연구에 따르면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스파이크박스 JN.1 접종은 직원 1만명 기준 의료비와 생산성 손실 비용 11억원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를 국내 회사 전체 임직원 규모로 환산하면 약 130억원이다.

백신 접종률이 높아질수록 기업 생산성 손실은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임직원 1인 고용 비용을 1억 2000만원으로 가정했을 때 백신 미접종 시 기업의 생산성 손실은 3억 4000만원이었다. 백신 접종률이 70%에 도달하면 2억4000만원으로 축소했다. 접종률 70% 기준 백신 구매 비용이 총 1750만원임을 감안하면, 기업은 백신 구매 비용의 6배 이상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셈이다.
이 교수는 “코로나19 감염이 여전히 심각한 사회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고, 임직원 백신 접종이 기업 손실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효과적이다”고 강조했다.

이한솔 모더나코리아 의학부 메디컬어드바이저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 원리와 가능성을 소개했다. 모더나 mRNA 기술 플랫폼은 다른 프로그램과 쉽게 연결해 사용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제조 유연성과 빠른 개발 속도가 강점이다. 덕분에 전례 없는 속도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세계에 10억도즈 이상 백신을 공급할 수 있었다.
이 어드바이저는 “백신 도입 초기 당시 다른 백신에 비해 많은 이상사례를 보인 것은 사실이지만, 안전성을 지속 개선해 현재는 신고율이 1000명당 0.015명에 불과하다”면서 “현재 감염성 질환, 희귀질환, 종양학 등 다양한 치료 분야에서 mRNA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더나는 용량을 대폭 줄이고 냉동 보관 부담을 덜어낸 백신 ‘1283’의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 총 45개 백신 개발 프로그램을 가동 중이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