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아토 3 / 사진=BYD](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027/image-757126d1-54c9-4c82-9dff-be4f2ab49b7e.jpeg)
중국산 자동차 글로벌 점유율 41% 기록, 역대 최고
작년 12월 중국산 자동차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41%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승용차협회(CPCA)의 발표에서 확인된 사실로, 2017년과 비슷한 판매량인 854만 대가 판매되었다.
전체 연간 판매량은 9천60만 대로, 2023년의 점유율인 33.8%에서 0.9%포인트 상승한 34.7%에 도달했다.
이러한 데이터는 중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을 보여주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중국 브랜드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 브랜드의 성과
![지리자동차 카우보이 / 사진=지리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027/image-0e65fd90-2665-4a96-bdd7-36948f95a0d8.jpeg)
중국의 주요 자동차 브랜드들이 두드러진 성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비야디(BYD)와 치루이(Chery)는 강력한 실적을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창안(Changan)과 지리(Geely) 또한 그들의 시장 확장을 통해 긍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들의 성장은 경쟁력 있는 제품 생산과 마케팅 전략 덕분으로 분석된다.
중국 브랜드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 많은 소비자를 확보함에 따라, 점유율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 시장의 보조금 정책
![체리자동차 티고9 / 사진=체리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027/image-a1fe67e8-1e98-4adc-b090-83fb1c21a011.jpeg)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 정책은 내수 시장의 성장을 지원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전기차 1대당 2만 위안, 약 4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41% 증가하여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정책 덕분에 총 660만 대가 혜택을 받았으며, 지급된 차량 보상판매 보조금의 60% 이상이 신에너지차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지원은 중국산 자동차의 글로벌 점유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글로벌 시장의 변화
![창안자동차 네보 A07 / 사진=창안자동차](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4-0027/image-33b699d5-feb9-416e-af98-029047720959.jpeg)
중국 자동차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는 가운데, 유럽 시장에서도 점유율이 일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신흥국 시장에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글로벌 사우스 지역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도국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새로운 기회를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추이둥수 CPCA 사무총장은 “중국 자동자 시장의 성장세가 세계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고 언급했다. 점유율 증가와 더불어 중국의 자동차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