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시크 서비스 로고](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179/image-17474193-b66b-4420-b5d5-e2dab560c528.jpeg)
지난달 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생성형 AI 앱’ 2위에 올랐던 중국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셥(앱) 딥시크 사용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를 비롯해 공공기관, 기업까지 접속차단에 나서는 등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커지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방송사 중에선 MBC가 회사 전체공지로 “딥시크가 사용자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이 있어 회사에서의 접속을 차단한다”라고 밝혔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지난 4일 발표한 지난달 4주 차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생성형 AI 앱’ 통계를 보면 주간 사용자 수 1위는 챗GPT로 493만 명을 기록했다. 2위는 딥시크가 121만 명을 기록했다. 뤼튼(107만 명), 에이닷(55만 명), 퍼플렉시티(36만 명)가 뒤를 이었다.
![▲지난 4일 와이즈앱·리테일이 발표한 1월 4주차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생성형 AI 앱.](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2/CP-2023-0179/image-fb5229d4-edac-47bc-a449-3ff1ab9a8540.jpeg)
와이즈앱·리테일은 “생성형 AI 앱은 정보 검색, 텍스트,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개인 비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대화형 AI 서비스를 기준으로 전용 앱이 있는 경우를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사진 촬영, 메모, 번역 등 특정 기능에 특화된 앱은 제외했다”고 밝혔다. 해당 조사는 한국인 안드로이드와 iOS 스마트폰 사용자 표본조사로 실시했다.
딥시크의 사용량이 증가하자, 과도한 사용자 정보 수집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그러자 정부 부처는 지난 5일 저녁부터 줄줄이 딥시크 접속차단 소식을 발표했다. 통일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 고용노동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국민권익위 등 16개 정부 부처가 접속차단을 결정했다. 또 서울과 부산을 비롯한 광역지자체 17곳도 접속차단을 결정했다. 이외에도 금융계와 LG유플러스, 카카오 등 기업들도 접속차단에 나섰다.
언론계에서도 과도한 사용자 정보 수집에 대한 우려로 딥시크 접속차단 하는 사례가 나왔다. MBC 자사운영국 정보콘텐츠팀 정보보호파트는 지난 7일 사내에 「생성형 AI 사용 주의 안내」 공지를 통해 “딥시크가 사용자의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이 있어 회사에서의 접속을 차단한다. 챗GPT, 퍼플렉시티 등과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를 사용 시 회사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유의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그러자 딥시크 앱 사용량이 급감하는 모양새다. 지난 9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 집계에 따르면 딥시크 앱 일간 사용자수는 지난달 28일 19만1556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급감했다. 같은 달 29일 13만2781명으로 줄었고, 30일에는 9만6751명으로 떨어졌다. 차단 움직임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 4일의 경우 일간 사용자는 7만4688명에 불과했다.
앱 설치 건수도 점점 줄고 있다. 지난달 28일 17만1257건 설치 건수를 보이더니, 이번 달 1일(3만3976건), 2일(2만5606건), 3일(2만3208건), 4일(2만452건) 등으로 저조한 상황이다.
한편 딥시크에 중국 국영통신사로 사용자 정보 전송 코드 숨겨졌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5일(현지시간) 미국 ABC 방송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온타리오에 위치한 사이버보안업체 페루트 시큐리티의 이반 차린니 최고경영자(CEO)는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딥시크의 코드를 해독했는데, 의도적으로 숨겨진 코드로 추정되는 프로그램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차린니 CEO는 “중국 정부의 통제 아래 있는 서버들과 중국 내 회사로의 직접적 연결이 보인다. 이는 과거에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ABC방송은 “딥시크에 가입하거나 로그인하는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게 중국 내 계정을 만들게 돼 신원과 사용한 검색어 등이 중국 정부 시스템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