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2V 기반 레벨4 개발 완료
테슬라, FSD 기술 한국 도입 시작
2027년 상용화 목표, 경쟁 가속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1/CP-2023-0186/image-5964caed-28cc-40a4-b266-336b3a028703.jpeg)
“자율주행차가 이렇게 빨리 현실화될 줄 몰랐네”, “테슬라도 좋지만, 우리 기술이 더 잘 되면 좋겠다”
국내 자율주행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에이스웍스 등 5개사가 V2V 기반 레벨4 자율주행차를 개발한 데 이어, 테슬라코리아도 신호·정지선 인식 기술을 OTA로 업데이트하며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FSD 기술 개선에 나섰다.
90억 투입, 국책 사업 실증 테스트 준비
에이스웍스는 아이나비시스템즈, 롯데이노베이트, 케이스랩, 아이티텔레콤 등 5개사와 협력해 현대차 아이오닉6에 V2V 통신 기술을 접목, 실시간 도로 정보 공유가 가능한 레벨4 자율주행차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책 사업으로 총 90억원이 투입됐으며, 한국자동차연구원 역시 5개 기업과 협력해 실증 테스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이오닉 6 / 출처: 현대차(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1/CP-2023-0186/image-0e861f35-8673-4e5d-aa16-abf6221e1e67.jpeg)
도로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구간에서도 차량 간 통신만으로 안정적인 자율주행을 구현했다는 점이 핵심이다.
테슬라코리아는 최근 국내 신호등·정지선 인식 기술을 자사 차량에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방식으로 배포해 눈길을 끌고 있다.
2019년부터 준비해온 이 기술은 점멸·정지·주행 신호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운전자 편의와 안전성을 높였다.
미국에서 이미 여러 차례 검증된 테슬라의 FSD가 한국에서도 본격 도입될 거라는 기대감이 커진 이유다.
법·제도 미비, 자율주행 상용화의 걸림돌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1/CP-2023-0186/image-0a98627d-9248-41e4-bce6-2d49ced545f9.jpeg)
전문가들은 V2V 기술 기반의 레벨4 자율주행차가 상용화 단계에 들어서면 국내 완성차 시장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
국내 도로 환경에 맞춰 개발된 신호등 인식 및 차량 통신 기술은 FSD 시장에서 이미 강점을 보여온 테슬라와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중요 자산으로 평가된다.
아직 넘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법·제도적 장치 미비, 복잡한 도로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신호 인식,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 문제 등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기업들의 협업, 그리고 테슬라 같은 글로벌 업체의 국내 전략 강화가 맞물리면서, 2027년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한 국내 시장 경쟁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