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 시즌2에 대해 1조5000억 원 가량의 수익이 예상된다는 추산치가 나오자 넷플릭스가 한 작품의 수익을 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이를 부인하고 나섰다. 이에 추산 보고서를 냈던 업체는 “과거 외신에서도 데이터를 이용해 수익 추정치를 보도한 바 있다”며 “콘텐츠 산업에 대한 데이터가 더 많이 공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디어 연구소 K엔터테크허브는 지난 1일 오징어게임 시즌2가 제작비 대비 최소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1조5000억 원의 수익이 예상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K엔터테크허브는 “3년 동안의 스트리밍 시장 경쟁으로 시즌1의 수익성(40배)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러나 유사 프로그램 성과, 3년 동안의 구독자 증가(6000만 명)를 감안하면 최소 제작비 대비 10배 이상의 수익이 기대된다”고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오징어게임 시즌1 제작비는 약 250억 원, 시즌2 제작비는 약 1000억 원이다.
수익 추정치가 기사화되자 넷플릭스가 공식 입장문을 통해 반박했다. 넷플릭스는 “넷플릭스와 같은 월정액 구독형 서비스는 개별 작품의 시청 수나 시청 시간으로 별도의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없다. 이에, 한 작품의 흥행으로 수익을 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넷플릭스는 “개별 작품으로 인한 금전적 수익의 추산을 가능케 하는 공식 정보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넷플릭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작품의 성과를 평가하지 않으며, 평가할 수도 없다”면서 “개별 작품의 추가 수익 추산이나 예측은 영화관 티켓 판매에 의한 박스오피스 성적이나 단건 결제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VOD서비스의 매출 분석 방식에 적합한 것이다. 매월 회원들이 고정된 금액을 지불하고 무제한으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구독형 서비스엔 적용할 수 없다”고 했다.
즉, 넷플릭스와 같은 구독형 OTT 기업에겐 작품당 수익을 추산하는 것이 사실상 무의미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한정훈 K엔터테크대표는 2일 미디어오늘에 “(수익 추산치)1조5000억 원은 (오징어게임으로 인한) 구독자 증가, 브랜드 상승, 추가 사업(굿즈 판매) 등을 감안한 임팩트 가치(Impact value) 추정치”라며 “과거 외신에서도 오징어게임 관련 다른 패럿 자료를 인용해 추정치를 보도한 바 있다. 회사가 각 콘텐츠의 경제적 효과를 측정하지 않고 사업을 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2021년 10월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가치가 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기사에서 “이 한국 쇼는 개별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인 임팩트 가치에서 8억9110만(당시 환율 약 1조 원) 달러의 가치를 창출했다. 이 프로그램의 제작비는 에피소드당 약 240만 달러인 2140만 달러에 불과했다. 이 수치는 첫 번째 시즌에 대한 것이며, 넷플릭스의 성과 지표를 자세히 설명하는 문서에서 나온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악시오스도 2022년 11월 패럿애널리틱스를 인용해 오징어게임 시리즈의 매출 기여도를 약 3조 원이라고 추산했다.
한정훈 대표는 “보고서에서 인용한 패럿애널리틱스는 미국 배우협회와 계약도 했다. 출연료나 성과보상 계약할 때 근거자료를 내기 위해서”라며 “콘텐츠 산업이 더 체계화되고 데이터가 더 많이 공개돼야 한다. 넷플릭스만 앞서 가선 안 된다”고 말했다.
넷플릭스 관계자는 2일 미디어오늘에 “(오징어게임) 시즌1 때 외신에서 나온 숫자도 넷플릭스에서 공식적인 수익이 아니라고 밝힌 부분이 있다. 경제적 효과와 기업이 수익을 올리는 건 다른 얘기”라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도 국내외 OTT 중 넷플릭스가 가장 많은 데이터를 공개하는 걸로 안다. 반기마다 시청 시간, 시청 수 등 6개월의 데이터를 온라인에 공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