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L 베드락 섀시 설명회 / 사진=CATL](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4-0027/image-7700975a-3fa6-47d5-8b10-113843f9667e.jpeg)
CATL, 최대 120km/h 충돌에도 견딜 수 있는 베드락 섀시 공개
CATL은 전기차의 새로운 기준을 선보이며 베드락 섀시를 공개하였다. 이 섀시는 최대 120km/h 속도의 충돌에도 견딜 수 있는 성능을 자랑한다.
배터리 중심 설계와 셀 투 섀시 기술을 활용해 배터리 셀을 섀시에 직접 통합하였다. 이러한 혁신적인 구조는 충돌 시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충돌 안전성 향상
![CATL 베드락 섀시 충돌 테스트 / 사진=CATL](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4-0027/image-fe12c873-f1d7-4c5f-bd55-6902f117b051.jpeg)
베드락 섀시는 충돌 에너지의 최대 85%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기존 기술에서 60%의 에너지 흡수 능력과 비교할 때 상당한 개선된 수치이다.
3D 구조와 열 성형 강철 및 항공우주 등급 알루미늄 합금을 활용한 혁신적인 재료 조합이 안전성을 한층 끌어올렸다. 이러한 기술적 향상은 사고 상황에서 승객의 안전을 대폭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고급 안전 기술 적용
![CATL 베드락 섀시 충돌 테스트 / 사진=CATL](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4-0027/image-a6424470-5d0c-4211-870d-e263ca14c52c.jpeg)
고전압 차단 기술 역시 주목할 만하다. 이 기술은 충격 발생 후 0.01초 이내에 고전압 회로를 즉시 차단하고, 0.2초 이내에 잔여 고전압 에너지를 방전한다.
CATL은 세 가지 고난도 테스트에서 배터리 셀이 화재나 폭발 없이 성능을 유지했음을 확인하였다.
이 테스트에는 60km/h 고속 슬라이드 충격, 90도 굽힘, 관통 톱질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안전성 확보 전략은 전기차의 신뢰성을 더욱 높여줄 전망이다.
자동차 제조사와의 협력
![CATL 베드락 섀시 설명회 / 사진=CATL](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4-0027/image-1f9b5cea-930d-4f46-a925-a0d615dd5483.jpeg)
베드락 섀시를 최초로 사용할 자동차 제조사는 중국의 창안자동차와 화웨이의 합자 회사인 아바타(Avatr)이다. 이날 두 회사는 베드락 섀시에 대한 협력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였다.
향후 이 기술은 더욱 널리 사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CATL의 혁신적인 안전 기술이 전기차 시장에서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CATL은 이번 발표를 통해 전기차 안전성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