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IT조선, Author at 뉴스벨 - Page 11 of 130

IT조선 (2593 Posts)

  • AMD, ‘16코어·3D V-캐시’ 최고 성능 라이젠 출격 [CES 2025] AMD가 데스크톱과 노트북 PC용 프로세서로 최고 성능에 도전하는 제품들을 발표했다. 특히 노트북용 프로세서에서도 데스크톱 급 16코어 구성과 3D V-캐시를 모두 갖춘 제품이 등장해 눈길을 끈다.AMD는 7일(현지시각)부터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서 데스크톱용 ‘라이젠 9 9900X3D 시리즈’ 프로세서와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을 위한 ‘라이젠 9 9900HX 시리즈’ 프로세서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데스크톱용 ‘라이젠 9 9900X3D 시리즈’는 1분기 중, 노트북용 ‘라이젠 9 9900HX
  • ‘종속과 협력 사이’…삼성·구글 러브스토리 결말은 삼성전자와 구글이 운영체제(OS)를 시작으로 인공지능(AI), 확장현실(XR), 오디오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며 시너지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오랜 협력을 이어온 구글의 지원에 힘입어 스마트폰, TV, IT 기기 등 여러 제품군에서 차별화 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다만 구글과 고착화 한 협력이 삼성에는 독자적 생태계 구축이 아닌 기술 ‘종속’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각국 규제 당국이 겨눈 반독점 제재 가능성 역시 삼성에 잠재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지난해 BMW가 가장 많이 팔려… 벤츠와 7354대 격차 수입 완성차 브랜드의 2024년 12월 국내 판매량이 공개됐다. 지난달 신규 등록된 수입 승용차는 전년 동기 대비 13.6% 감소했으며 11월에 비해서는 1.1% 줄은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누적대수는 26만3288대로 27만1034대를 기록했던 2023년에 비해 2.9% 줄었다.6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BMW가 7만3754대를 판매하며 연간 브랜드별 등록대수 기준 1위를 차지했다.메르세데스-벤츠는 6만6400대로 2위에 올랐고 테슬라는 2만9750대로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볼보와 렉서스는 각각
  • 캐논코리아, ‘최대 50만원’ 주력 모델 10종 가격 인하 캐논코리아가 캐논의 EOS R 시스템 및 액세서리 등 인기 제품 10종의 공식 가격을 인하한다고 6일 밝혔다.가격 인하 대상 제품은 EOS R 시스템 5종(▲EOS R5 ▲EOS R6 Mark ll ▲EOS R8 ▲RF-S3.9mm F3.5 STM DUAL FISHEYE ▲RF135mm F1.8L IS USM)과 카메라 액세서리 4종(스피드라이트 ▲EL-5 ▲EL-10, 스테레오 마이크 ▲DM-E1D ▲DM-E1) 등을 포함한 총 10종이다.특히 캐논의 가장 대표적인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인 EOS R6 Mark ll는 바디 기준
  • 전야제 ‘언베일드’ 열려… 바디프랜드·기린 등 이목 집중 [CES 2025] 세계 가전·IT전시회 ‘CES 2025’ 개막을 이틀 앞두고 ‘CES 언베일드’가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됐다. CES 언베일드는 CES의 베일을 미래 벗겨본다는 의미의 전야제격 행사다. 이번 CES 언베일드에선 한국 바디프랜드의 AI헬스케어로봇 ‘733’과 일본 기린홀딩스의 ‘전자 소금 숟가락’에 취재진 이목이 집중됐다.미국 현지시각 5일 오후 5시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컨벤션 센터에 입장하자마자 왼쪽 부근으로 취재진의 발걸음이 쏠렸다. 다양한 혁신제품 및 서비스가 출품되는 CES지만 우선 한눈에
  • LG전자, CES서 공감지능 중심 AI 비전 공개 [CES 2025] LG전자는 세계 최대 가전·IT전시회 CES 2025에서 공감지능(AI)을 중심으로 LG만의 AI 비전과 혁신을 선보인다. CES 2025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 시각 7일부터 10일까지 열린다.6일 LG전자에 따르면 LG전자는 이번 CES에 2044㎡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한다. 전시관은 ‘공감지능과 함께하는 일상의 라이프스 굿(Life’s Good 24/7 with Affectionate Intelligence)’을 주제로 고객과 공감한다.전시관 입구는 LED 사이니지 700장쯤을 이어붙인 가로 10.4m, 세로 5.2m 규
  • 대형 M&A 몸푸는 삼성·LG…리밸런싱 강화하는 SK 삼성과 LG가 지분 인수와 글로벌 기업공개(IPO)를 통한 미래 먹거리 발굴에 시동을 건다. 이를 기점으로 그동안 미뤄온 대형 인수합병(M&A)에도 속도를 낼 것이란 기대감이 커진다. 반면 SK는 2024년에 강도 높게 진행한 리밸런싱(구조조정) 작업을 올해도 이어간다.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동시에 인공지능(AI) 투자 여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삼성전자는 2024년 12월 31일 로봇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기존 14.71%에서 35.0%로 확대하며 최대 주주에 올랐다.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은 로봇 사업에 탄력이 붙을 전
  • K-방산, 탄핵정국 불안 넘어 수출 확대 가속화 [韓산업 新도전 ②] K-방산 수출액이 최근 2년 연속 줄었지만 올해 반등할 전망이다. 특히 2024년 말 비상계엄 사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 국정 공백이 생겨 방산 수출에 악영향을 미쳤지만 올해 육·해·공 모든 분야에서 수출 계약에 속도 낼 것으로 관측된다.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폴란드에 70억달러 규모 K2 전차 수출과 10억달러 규모 사우디아라비아 무기 획득 사업 등 240억달러 규모의 방산 수출이 이뤄질 전망이다.이로써 최근 2년간 줄어든 방산 수출액이 반등할 것으로 관측된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실이 방위사업청으로부
  • 전기모터로 즐기는 오프로드, 지프 그랜드 체로키 4xe 궁극의 오프로더를 지향하는 지프가 변했다. 조여오는 환경 규제와 효율성이 차량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시작하면서 등한시했던 ‘친환경’과 거리를 좁히기 시작한 것이다. 지프는 브랜드 최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4xe’를 개발하고 랭글러에 처음 적용했다. 이어 5세대 그랜드 체로키를 내놓으면서 본격적으로 친환경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여정을 시작했다. 디젤 엔진을 라인업에서 지우고 최초의 3열 모델인 ‘그랜드 체로키 L’과 그랜드 체로키 최초의 PHEV 모델을 더한 것이다.새로운 파워트레인은 그랜드 체로키만
  • 글로벌 CDMO 최정상 향한 도전 지속 [K-제약 글로벌 도전②]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영역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영향력을 높여 세계적인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움직임에 돌입했다.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정상급 기업에 오른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국내사들이 CDMO 영역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최근 삼정KPMG은 ‘2025년 국내 주요 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제약바이오 산업에서 가장 주목받는 영역으로 CDMO를 꼽았다. 의약품 산업 중심이 기존 케미컬에서 바이오의약품으로 이동하면서 이를 생산·개발할 산업이 힘을 얻을 것이란 분석이다.
  • “K컬처 너만 믿는다”… 불황에 해외 돌파구 찾는 패션가 [유통전망 2025②] 지난해 고전을 면치 못했던 패션업계가 올해도 녹록지 않은 상황에 직면했다. 새해부터 고물가에 소비심리가 위축된 데다 이상 기후가 지속되면서 내수가 쉽사리 살아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패션업계는 해외 진출 가속화와 뷰티·생활용품 등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출구 전략을 마련하겠다는 복안이다.다수의 패션 기업이 공통으로 삼은 타개책은 ‘글로벌 진출’이다. 한국 드라마·영화 등 일명 ‘K컬쳐’ 바람을 타고 국내 패션 브랜드의 인지도가 확산되면서 내수보다는 해외에서의 수요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대표적으로 삼성물
  • 삼성·LG가 키운 스타트업, CES서 ‘AI 기술’ 대리戰 치룬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육성한 스타트업이 CES 2025에 참가해 인공지능(AI) 혁신 기술 대리전을 펼친다. 이들 기업은 라스베이거스 베네시안 엑스포(Venetian Expo)내 스타트업 혁신 기술을 선보이는 ‘유레카파크’에 전시관을 꾸려 해외 시장 진출 교두보를 마련한다.삼성전자는 7일(이하 현지시각)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25에 ‘C랩 전시관’을 마련하고 15개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C랩 15개사는 삼성전자가 외부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C랩 아
  • 美테슬라, 사상 첫 인도량 감소… 中비야디와 고작 3만대 차이 미국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의 연간 인도량이 처음으로 감소하며 중국 완성차 제조사 비야디(BYD)와 차이가 좁혀졌다.테슬라가 2일(현지시간)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해 178만9226대를 인도했다. 이는 전년 대비 1만9355대 적은 수치다. 연간 인도량이 떨어진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특히 4분기 실적은 49만5570대로 시장 예상치와 가이던스에 모두 미치지 못했다. 이는 경쟁 업체들이 유럽에서 점유율을 확보하면서 4분기 테슬라의 유럽 판매량이 크게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에 따르면 지난해
  • 中 전기차 공습 시작… 韓 전기차 차별화 전략 필요 [車전망 2025 ③] 올해 중국산 전기차의 한국 시장 공세가 예상됨에 따라 국산 완성차 제조사들의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차별화된 전략을 세우지 못한다면 중국산 전기차에 시장을 빼앗길 가능성이 높다는 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업계에 따르면 중국 최대 전기차 제조사인 비야디(BYD)는 오는 1월 16일 국내 승용차 시장 본격 출범을 알리는 기자간담회를 진행한다. 지난해 숱하게 입방아에 오르내리며 진출에 대한 논란을 잠재우는 것이다.비야디는 한국 진출을 위해 한국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해 12월 세일즈 및 서비스를 담당할 딜러사 6곳을 선정한 바 있다.
  • 관세·환율 영향 적은 콘텐츠, 트럼프 시대 핵심 성장동력 [트럼프 2기 전망 ⑤] 콘텐츠 산업은 다른 산업과 다른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다. 원자재가 없어 상품과 서비스 원가에 인건비와 기술만 포함됐기 때문이다. 콘텐츠 산업이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 따른 환율·관세 등 시장 변화 영향을 적게 받는 업종으로도 꼽히는 이유다. 정부가 콘텐츠 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겸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이유도 이 같은 특성 때문으로 분석된다.3일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콘텐츠 산업은 올해 3분기 반도체·선박·무선통신·석유화학·자동차 등 국내 주요 산업 중 유일하게 수출업황 지수, 수출채산성 지수, 수출물량 지수가 모두 10
  • 삼성전자, CES서 AI 탑재한 모니터 5종 선보인다 삼성전자가 7일부터 10일(현지시각)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5에서 2025년형 모니터 신제품을 공개한다.신제품은 총 5종으로 ▲AI 기능이 대폭 향상된 32인치 스마트 모니터 M9 ▲업계 최초 27인치∙4K∙240㎐ OLED '오디세이 OLED G8' ▲OLED 모니터 최초 500㎐ 주사율 '오디세이 OLED G6' ▲무안경 3차원 경험을 제공하는 '오디세이 3D' ▲고해상도 모니터 대화면 37인치 '뷰피니티 S8'이다.‘AI 기능 대폭 향상’ 2025년형 스마트 모니터 M9 공개삼성전
  • 10대 그룹 총수 중 한국인 관심도 1위는 ‘이재용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10대 기업집단 수장 중 한국인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3위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으로 나타났다.데이터앤리서치는 2024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공정위 지정 상위 10대 대기업 집단 총수의 온라인 정보량(포스팅 수=관심도)을 분석했다고 2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과 조직·정부와 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다.10대 대기업 총수는 정보량 순으로 ▲이재용 삼
  • 삼성은 ‘정체’ SK하닉은 ‘개선’…2025년 실적 전망 희비 새해 실적 전망에서 ‘반도체 라이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희비가 엇갈렸다. 삼성전자는 중국 기업의 범용 반도체 물량 공세에 고전하며 실적이 정체할 것으로 관측된 반면,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반도체에서 선두 지위를 유지하며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따르면 삼성전자의 2025년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는 56조2161억원에서 40조4845억원으로 28% 낮아졌다.KB증권은 2025년 삼성전자 영업이익 추정치를 36조1000억원으로 하향했다. 기존 전망치보
  • “美·中 독주 막자”…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 준비하는 삼성·LG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떠오른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독주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이들 기업이 꺼낸 카드는 유망 로봇 기업 인수합병 및 지분 참여다.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인간의 신체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인간형 로봇으로, 인간과 상호작용하거나 인간처럼 행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로봇은 다양한 센서, 카메라,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해 환경을 인식하고, 인간의 동작을 모방하거나 특정 작업을 수행한다. 삼성, 미래로봇추진단 신설·로봇TF 꾸려 개발 총력골드만삭스는
  • 국내 車업계, 신차·새 전략으로 성장 이끈다 [車전망 2025 ①] 불확실한 정세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성과를 기록한 국내 완성차 업계는 2025년에도 다양한 신차 투입과 새로운 전략으로 성장세를 이을 전망이다.2024년 국내 자동차 업계는 신차 효과와 하이브리드 호조에 힘입은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사상 최대 수출량을 기록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견조한 성장을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대내외 불확실한 경영환경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등 차별화 전략을 펼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 르노코리아는 4년 만에 내놓은 그랑 콜레오스가 하이브리드 호조
1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30

당신을 위한 인기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 “전기 밴은 나야 둘이 될 수 없어” 폭스바겐에 도전장 내민 기아 PV5, 승자는?
  • “일본산 지바겐 나온다!”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에 하이브리드 연비까지 갖춘 렉서스 GX
  • “가정 교육을 어떻게 받은 거니” 17세 소년, 흡연하다 무면허 적발

추천 뉴스

  • 1
    주거 트렌드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도와줘요 자산관리]

    뉴스 

  • 2
    “딱 보면 알아요…조심해라 다친다, 110%만 해라” 구원 브라더스가 롯데 마운드를 구원한다, 엄빠의 마음으로[MD타이난]

    스포츠 

  • 3
    “꽃도 보고 보트도 타고”… 3월 가기 좋은 색다른 봄꽃 여행지

    여행맛집 

  • 4
    '극 I' 이주승, '극 E' 카니 기세에 눌렸다 "기 확 빨려"(나 혼자 산다) [텔리뷰]

    연예 

  • 5
    'UCL 16강' PSG 이강인은 리버풀...뮌헨 김민재는 레버쿠젠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편스토랑' 류수영, 마카오 '1일 21식' 폭풍흡입

    연예 

  • 2
    유튜브보다 포털뉴스 댓글에 '무례·혐오 언어' 많아

    뉴스 

  • 3
    전현무계획2' 김성령 "강우석 작품 주연 맡은후 16년간 영화 못해"

    연예 

  • 4
    '이게 무슨 일이고' 고우석의 시련, 日에서도 집중 조명 "ML 승격에 먹구름 끼었다"

    스포츠 

  • 5
    문화·예술·창작 공간 ‘붉은 벽돌 쌀 창고’ [인천톡톡]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