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6일까지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마리 앙투아네트는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프란츠 1세와 오스트리아 제국의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 사이에서 막내딸로 태어나 14살에 프랑스 루이 16세와 결혼했다. 오스트리아와 오랜 숙적이었던 프랑스와의 동맹을 위한 정략결혼이었다. 그러나 왕비로 재위하는 동안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 단두대에서 처형된 비운의 여인이다.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는 이 비운의 여인을 주인공으로 한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물이지만, 정작 그녀의 인생이 어떠했는지를 물으면 사치와 허영, 단두대에서의 처형 정도로만 기억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장 자크 루소의 ‘고백록’ 중 한 구절인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지’라는 말도 마치 왕비의 말처럼 선전됐고, 희대의 ‘다이아몬드 목걸이 사기 사건’ 역시 진범이 가려졌지만 왕비를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혁명 세력에겐 공공의 적이 필요했고, 마리 앙투아네트는 모두가 미워하기에 적합한 대상이었다.
극은 왕비의 화려함 속에 담긴 인간적인 면을 부각한다. 모든 것을 누리던 마리 앙투아네트가 온갖 죄목을 뒤집어쓰고 처형되기까지도 자신의 가치를 무너뜨리지 않는 모습, 또 그로 인해 자신의 아이들마저 고통받게 되자 치욕스러움에 울부짖는 모성애를 표현하는 모습 등은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한다.
더해 마리 앙투아네트와 대척점에 서있는 마그리드 아르노라는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해 묻는다. 마그리드 아르노는 사회 부조리에 분노하며 프랑스 빈민들과 함께 혁명을 선도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마그리드 아르노는 사회 부조리에 분노하며 프랑스 빈민들과 함께 혁명을 선도한다. 진정한 자유와 정의를 원하는 가운데 마리 앙투아네트를 만나 그녀가 오해로 인해 겪게 되는 일련의 비극들을 마주하는 마그리드 아르노는 인간적인 고뇌에 휩싸이게 되고, 이 역시 관객들로 하여금 진정한 정의에 대해 생각하게 하며 또 다른 공감대를 자아낸다.
그러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도달하는 과정은 여전히 설득력이 부족하다. 불평등한 계급 사회에 분노하고 약자들을 돌보던 마그리드 아르노가 분노와 질투심에 눈이 멀어 마리 아투아네트를 끌어내릴 계략에 가담한다는 흐름이 그렇다. 특히 그가 각성한 계기가 왕비에 대한 사적인 감정, 그리고 그 감정이 몰랐던 ‘핏줄’ 때문이라는 설정은 다소 엉성하다. 프랑스 혁명이 오를레앙 공작 개인의 욕망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단순화한 듯한 느낌도 지우기 힘들다.
다만 왕실과 빈민가의 대조적인 이미지를 번갈아 보여줌으로써 오는 시각적 화려함은 압도적이다. 배우들의 연기도 압권이다. 특히 마리 앙투아네트 역의 김소향은 온실 속의 화초 같은 천진난만한 모습과 왕비로서의 기품 있는 모습, 엄마로서 보여주는 깊은 사랑과 분노 등 혼란스러운 마리 앙투아네트의 내면을 흡인력있게 표현한다. 5월26일까지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