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0308마감체크] 외국인·기관 양시장 동반 순매수… 코스피·코스닥 상승

인포스탁데일리 조회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12월 금리인상론이 한풀 꺾인 가운데  미국 내 물가와 취업률 동향이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

■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는 1.24% 상승한 2,680.35에 마감했다.

밤사이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올해 금리 인하 시사 발언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ECB 금리 동결 속 연내 금리 인하 전망 등에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676.79로 갭상승 출발했다. 장초반 상승폭이 둔화되기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확대하며 오전 중 2,688.0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이후 2,680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오후 들어 일부 상승폭을 반납해 2,668.38에서 저점을 형성했다. 오후 장중 재차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결국 2,680선을 회복하며 2,680.35로 장을 마감했다.

파월 Fed 의장이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다시 한 번 거론한 가운데, 기술주 강세 속 미국 증시가 강세를 보인 영향으로 코스피지수는 1% 넘게 상승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외국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기관은 4거래일만에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3,800계약 넘게 순매수했다.

특히, 밤사이 엔비디아(+4.47%)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또 다시 신고가를 경신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3% 넘게 급등했고, 이에 국내증시에서도 삼성전자(+1.52%), SK하이닉스(+4.24%) 등 반도체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삼성SDI(+3.40%), 삼성에스디에스(+3.32%) 등 주요 기술주들도 상승했다. 4월 미국암학회(AACR) 기대감 지속 속 개별 호재가 잇따르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5.28%), 셀트리온(+1.81%)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강세를 보였다.

파월 Fed 의장은 이틀 연속 연내 금리 인하 시사 발언을 이어갔음. 파월 의장은 미국 하원 반기 통화정책 증언에 이어 상원 반기 증언에서도 금리 인하가 멀지 않은 시기에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파월 의장은 “우리가 원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2%로 지속 가능하게 내려가는 길에 있다는 것을 더 자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더 많은 증거다. 그것은 좋은 인플레이션 수치로 나올 것이다”라고 언급하면서 “금리를 인하하기 위한 자신감을 가지는 데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에 Fed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졌으며, 미국 국채금리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반도체주를 비롯한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뉴욕 장 마감 시점 Fed가 오는 6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75.7%로 높아졌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연준) 의장이 기자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미국 연방준비제도<br /><div  class=
” src=”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31/image-8324c86c-829a-45e6-b6d7-77af9aa031f8.png”>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연준) 의장이 기자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미국 연방준비제도

이날 밤 발표되는 미국 고용동향보고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2월 비농업 고용이 19만8,000명 증가해 전월의 35만3,000명 증가에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실업률은 3.7%로 전월과 같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1월 경상수지는 30억5,000만달러(4조519억원) 흑자로 집계됐으며, 이 중 상품수지(42억4,000달러)는 지난해 4월 이후 10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특히, 반도체(+52.8%) 수출이 급등했다.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1.1원 급락한 1,319.8원을 기록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820억, 6,987억 순매수, 개인은 9,073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833계약, 2,541계약 순매수, 기관은 7,175계약 순매도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5.0bp 하락한 3.271%,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6.5bp 하락한 3.334%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5틱 오른 104.85로 마감했다. 개인, 투신이 5,837계약, 2,572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외국인은 7,254계약, 1,914계약 순매도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69틱 오른 113.84로 마감했다. 외국인이 4,012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3,044계약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5.28%), SK하이닉스(+4.24%), 삼성SDI(+3.40%), 삼성물산(+2.25%), 기아(+1.82%), 셀트리온(+1.81%), 삼성전자(+1.52%), 신한지주(+1.32%), 포스코퓨처엠(+1.26%), 현대차(+1.20%), LG에너지솔루션(+0.75%), 카카오(+0.57%), POSCO홀딩스(+0.34%) 등이 상승했다. 반면, 삼성생명(-0.85%), NAVER(-0.53%), KB금융(-0.42%), 하나금융지주(-0.17%) 등은 하락했다. LG화학, 현대모비스는 보합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했다. 의약품(+3.78%), 기계(+1.99%), 의료정밀(+1.77%), 전기전자(+1.73%), 제조업(+1.61%), 비금속광물(+1.46%), 서비스업(+1.17%), 유통업(+1.15%), 섬유의복(+0.91%), 음식료업(+0.83%), 운수장비(+0.79%), 철강금속(+0.72%), 건설업(+0.68%) 등이 상승했다. 반면, 종이목재(-1.09%), 전기가스업(-0.91%), 운수창고(-0.54%), 보험(-0.22%), 통신업(-0.02%)만 하락했다.

■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1.14% 상승한 873.18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869.18로 상승 출발했다. 오전 중 시가 부근에서 상승 흐름을 이어가던 지수는 오후 들어 일부 상승폭을 반납해 866.18에서 저점을 형성했다. 이후 점차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장중 고점인 873.18로 장을 마감했다.

파월 Fed 의장 올해 금리 인하 시사 발언이 이어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코스닥지수는 하루 만에 반등했다. 외국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수, 기관은 14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했다. 특히, 4월 미국 미국암학회(AACR) 기대감 지속 및 개별 호재가 잇따르면서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엔비디아 연일 사상 최고치 경신 속 반도체 관련주들도 강세를 보였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뉴스1<br /><div  class=
” src=”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31/image-52721109-449c-4381-be4f-4b7f39f18cc3.jpeg”>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뉴스1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876억, 39억 순매수, 개인은 2,960억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했다. 레이크머티리얼즈(+26.71%), HLB(+22.65%), ISC(+18.45%), 삼천당제약(+6.55%), 리노공업(+5.12%), 레고켐바이오(+4.22%), 알테오젠(+3.47%), 신성델타테크(+3.25%), 레인보우로보틱스(+3.06%), JYP Ent.(+1.80%), 셀트리온제약(+1.61%), 클래시스(+1.07%), 이오테크닉스(+0.51%) 등이 상승했다. 반면, 엔켐(-7.82%), HPSP(-3.69%), 휴젤(-1.90%), 에코프로(-1.50%), 에코프로비엠(-1.40%), 동진쎄미켐(-0.25%), 솔브레인(-0.18%)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했다. 제약(+6.93%), 방송서비스(+3.32%), 통신방송서비스(+2.67%), 제조(+1.73%), 유통(+1.66%), 오락/문화(+1.50%), 기타서비스(+1.49%), 통신서비스(+1.24%), 반도체(+1.09%), 의료/정밀 기기(+0.98%), 기계/장비(+0.81%), IT H/W(+0.77%), 비금속(+0.77%), 운송장비/부품(+0.76%) 업종 등이 상승했다. 반면, 인터넷(-1.84%), 금융(-1.07%), 일반전기전자(-0.89%), 출판/매체복제(-0.86%), 금속(-0.82%), 운송(-0.77%), 섬유/의류(-0.71%) 업종 등은 하락했다.

허준범 기자 jb_3heo@infostock.co.kr

인포스탁데일리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AI 추천] 공감 뉴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빠르고 강력한 EV9 등장에 국내외 발칵!” 기아 EV9 GT 출시 예고
  • "기사들도 전기차 손절" 요즘 택시, '이 자동차'가 대세 됐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 “전기 밴은 나야 둘이 될 수 없어” 폭스바겐에 도전장 내민 기아 PV5, 승자는?
  • “일본산 지바겐 나온다!”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에 하이브리드 연비까지 갖춘 렉서스 GX
  • “가정 교육을 어떻게 받은 거니” 17세 소년, 흡연하다 무면허 적발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광진구 보디빌딩선수단, 소방관에 재능기부

    여행맛집 

  • 2
    용산구, 민원 서비스 종합평가 우수기관 선정

    여행맛집 

  • 3
    "믿고 마셨는데..." 제로 음료 하루 3캔 마시면 '이 질병' 유발한다

    여행맛집 

  • 4
    ㈜이오콘텐츠그룹, 나의 완벽한 비서 흥행 가도 잇는다! 2025년 라인업 업계 관심

    연예 

  • 5
    '바람의 손자'가 돌아온다…이정후, 텍사스전 3번 중견수 선발 출전

    연예 

[AI 추천] 인기 뉴스

  • 구글, 보급형 스마트폰 '픽셀 8a' 공식 출시
  • 尹대통령 “부총리급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교육·노동·복지 등 사회부처 이끌게 할 것”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윤 대통령 "국민소득 5만달러 꿈 아냐…복지·시장정책 하나로"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지금 뜨는 뉴스

  • 1
    홀토마토 요리 감칠맛 좋은 토마토 해물 파스타 만들기

    여행맛집 

  • 2
    “치솟는 기름값에 결국”.. 소비자들이 선택한 車, 5년 새 2배 비중 늘어

    차·테크 

  • 3
    심리적 내전상황, 극우와 연대하는 '국민의힘' 책임이 크다

    뉴스 

  • 4
    '판 커지는 AI'…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빅테크, 인공지능 투자 대폭 확대

    뉴스 

  • 5
    30년 만에 복원사업 추진하는 만수천…새 이름 찾을까

    뉴스 

[AI 추천] 추천 뉴스

  • 현대모비스, 울산 전기차 부품공장 만든다...900억원 투자
  • 현대차 美 합작사 모셔널, 인력 줄이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연기
  • 합리적인 가격으로 메리트 높아지는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 ‘나혼산’ 안재현+안주=76.55kg, 다이어트 시작 “결전의 날이 왔다"
  • “빠르고 강력한 EV9 등장에 국내외 발칵!” 기아 EV9 GT 출시 예고
  • "기사들도 전기차 손절" 요즘 택시, '이 자동차'가 대세 됐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 “전기 밴은 나야 둘이 될 수 없어” 폭스바겐에 도전장 내민 기아 PV5, 승자는?
  • “일본산 지바겐 나온다!”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에 하이브리드 연비까지 갖춘 렉서스 GX
  • “가정 교육을 어떻게 받은 거니” 17세 소년, 흡연하다 무면허 적발

추천 뉴스

  • 1
    광진구 보디빌딩선수단, 소방관에 재능기부

    여행맛집 

  • 2
    용산구, 민원 서비스 종합평가 우수기관 선정

    여행맛집 

  • 3
    "믿고 마셨는데..." 제로 음료 하루 3캔 마시면 '이 질병' 유발한다

    여행맛집 

  • 4
    ㈜이오콘텐츠그룹, 나의 완벽한 비서 흥행 가도 잇는다! 2025년 라인업 업계 관심

    연예 

  • 5
    '바람의 손자'가 돌아온다…이정후, 텍사스전 3번 중견수 선발 출전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홀토마토 요리 감칠맛 좋은 토마토 해물 파스타 만들기

    여행맛집 

  • 2
    “치솟는 기름값에 결국”.. 소비자들이 선택한 車, 5년 새 2배 비중 늘어

    차·테크 

  • 3
    심리적 내전상황, 극우와 연대하는 '국민의힘' 책임이 크다

    뉴스 

  • 4
    '판 커지는 AI'…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빅테크, 인공지능 투자 대폭 확대

    뉴스 

  • 5
    30년 만에 복원사업 추진하는 만수천…새 이름 찾을까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