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리포트=박설이 기자]OTT(Over the Top) 플랫폼의 홍수에 우리는 살고 있다. 요즘 누가 TV 보냐고, 집에 TV 설치도 안 했다고 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지상파와 종편의 시청층 나이는 점점 높아지고, 유명 배우가 나오는 드라마라도 좀처럼 두 자릿수 시청률을 내기가 힘들다. 일부 톱배우들은 “지상파 드라마는 안 할 거예요”라 잘라 말하기도 할 정도로 지상파의 위상은 날로 추락하고 있다.
지상파를 떠나 ‘재미의 톱’을 찾고 있는 시청자들은 OTT로 향했다. 이에 발맞춰 넷플릭스, 디즈니+, 웨이브, 티빙 같은 OTT 서비스는 앞다퉈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이는 중이다. 구독자 유치를 위한 독점 콘텐츠를 만들다 보니 드라마나 영화는 선혈 낭자하거나 미스터리하거나 살색이 만연하거나 욕설이 쏟아지는, 자극적인 장르물 위주가 돼버렸다.
OTT가 만드는 오리지널은 허구의 창작물에 그치지 않는다. 돈 많이 드는 서바이벌 프로그램, 화려한 출연진과 아름다운 해외 관광지가 등장하는 여행 예능, 국민 MC를 중심으로 딱 봐도 세트 건설에만 수십 억 들인 듯한 생존 예능 같은 눈 쉴 틈 없는 고자극 예능 프로그램들도 쏟아진다.
이처럼 오락의 기능에 충실해온 OTT가 이번엔 저널리즘에 손을 뻗었다. 넷플릭스에서 해외 크라임 다큐를 즐겨 찾아보던 구독자에게는 반가운 소식이다. 그 선봉장에 선 두 프로그램, 넷플릭스 ‘나는 신이다’, 그리고 웨이브의 ‘국가수사본부’다.
두 프로그램은 지상파인 MBC와 SBS를 대표하는 탐사 보도 프로그램 PD들의 작품이다. ‘나는 신이다’는 ‘PD수첩’ 출신 조성현 PD, ‘국가수사본부’는 ‘그것이 알고 싶다’ 출신의 배성현 PD와 박진아 작가가 만들었다. ‘나는 신이다’는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사이비 종교 지도자들의 추악한 민낯을 속속들이 파헤쳐 큰 충격을 안겼고, ‘국가수사본부’는 어디서도 본 적 없는 우리 경찰들의 수사 과정을 생생하게 담아내 호평을 얻고 있다.
하지만 순기능만 있을 줄 알았던 OTT의 다큐를 향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나는 신이다’의 JMS 정명석 편에서는 신도들의 나체가 얼굴만 가려진 채 등장해 논란을 낳았다. 신분을 특정할 수 있을 정도의 얼굴 블러 처리라 2차 가해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기본적인 보도 윤리는 지켜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조성현 PD는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영상을 보고 섹스어필한다고 생각하는 분이 있다면 너무 끔찍한 일이고, 일반적인 감성을 가진 분들은 참담함을 느낄 것이다. 제작자 입장에서는 넣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시청자들이 떨어져 나가도 배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라고 설명했다.
경찰을 가장 가까이서 관찰하며 이들이 살인, 강도, 마약 등 사건을 수사하고 체포, 기소하는 과정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있는 ‘국가수사본부’에서도 작은 잡음이 있었다. 아직 재판이 진행 중인 사건 피의자의 실제 조사 장면이 피의자의 인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이 나온 것. 얼굴을 가렸지만 사건 지역, 사건의 종류가 모두 공개된 만큼 인물 특정이 가능하다. 웨이브 측은 관련 장면의 수정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저널리즘, 팩트라는 전재에서 사회의 부조리를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개선을 도모케 하는 데 그 가치를 둔다면 넷플릭스와 웨이보, 그리고 제작진이 취한 입장은 그에 부합하는 것일까?
결과론적으로만 본다면 ‘나는 신이다’는 JMS, 아가동산, 그리고 만민중앙교회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끌어내는 데 성공했으며 사이비 종교와 싸우고 있는 사람들의 노력을 세상에 알렸다. ‘국가수사본부’는 국가수사본부라는 생소한 경찰 조직의 이름을 알린 것은 물론, 그간 탐사 보도 프로그램의 표적이 되기만 했던 경찰들이 일선에서 어떻게 수사하고,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대중이 가까이서 볼 수 있도록 했다.
각종 OTT 오리지널을 시청해 온 시청자들은 ‘새로운 자극’을 찾고자 콘텐츠를 클릭했을지 모른다. “재미있겠다”는 마음으로 별 생각 없이 시청했다가 여러 가지 감정을 갖게 됐을 것이다.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는 이들을 향한 분노, 알면서도 외면했다는 죄책감, 개선에의 의지가 조금이라도 생겼다면 OTT의 저널리즘은 어느 정도 성공이다. 다만 심의에서 자유로운 OTT이기에 보도 윤리를 적당히 뭉개도 된다는 판단은 여전히 위험하다.
박설이 기자 manse@tvreport.co.kr/사진=넷플릭스, 웨이브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