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동 서울아레나 착공식
카카오 측 요청으로 연기
사법 리스크 원인 추정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2/CP-2023-0086/image-526e2216-089c-4c16-b693-af979dc84479.jpeg)
서울아레나는 도봉구 창동에 1만 8269석을 갖춘 음악 전문 돔 공연장을 짓는 서울 동북권 최대 문화복합시설 프로젝트다. 기존 일정대로라면 이번 주 착공식을 열어야 하는데, 별안간 연기 소식이 전해졌다.
11일 서울시는 “이달 14일 오후 2시 30분 개최하기로 한 서울아레나 복합문화시설 착공식은 ㈜서울아레나와 ㈜카카오의 요청에 의해 연기됐다”면서 “현재 연기 이유와 향후 사업 추진계획을 확인 중에 있다”고 밝혔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2/CP-2023-0086/image-0aab3359-319c-43f8-98ec-910ac8130b44.jpeg)
이에 업계에서는 카카오의 사법 리스크를 연기 원인으로 추측했다.
현재 카카오는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경쟁 과정에서 주식 시세를 조종한 혐의로 창사 이래 최대 사법 리스크에 휘말렸다.
시행사인 서울아레나의 100% 출자자인 카카오가 이로 인해 사정·금융당국의 조사를 받자 사업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당초 공연장 설립은 지방자치단체가 단독으로 진행하기엔 다소 부담스러운 탓에 8년간 표류하다 카카오가 출자자로 나서면서 추진이 성사됐다. 총사업비는 3,600억 원으로 추산됐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3/12/CP-2023-0086/image-830cb2eb-36a1-4fcd-ad4b-c56d96f213ff.jpeg)
며칠 전 김정호 카카오 경영지원총괄은 안산데이터센터와 서울아레나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수의계약 의혹도 제기했다. 두 곳 모두 시공사가 한화 건설부문이다. 안산데이터센터도 공사비가 1,436억 원에 달하는 굵직한 사업이다.
한편 카카오는 연기 요청에 대해 “서울 아레나 건립 관련 예상 비용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비용 재산정 및 이사회 의결을 거친 이후 착공식을 진행하려 한다”며 “이에 ‘정밀한 검토’와 이사회 의결 이후로 착공식을 연기할 것을 서울시에 양해 부탁드렸다”고 전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