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아파트 임차인이 지불한 평균 월세 금액이 100만원을 돌파했다. 이 가운데, 전체 월세 거래의 3분의 1은 100만원을 초과하는 고액 월세다. 고금리 장기화 속에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
11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아파트 월세(전세보증금은 제외) 계약을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거래된 서울 아파트 평균 월세 금액은 102만원으로 나타났다.
2년 전인 2021년 평균 90만원보다 12만원(13.3%), 지난해 98만원보다 4만원 뛰었다. 월세 금액이 오른 것은 올해 전셋값이 오른 데다, 고금리 여파로 전세를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전월세전환율이 동반 상승한 영향이 크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월세전환율은 2021년 평균 4.1%에서 지난해 4.3%로 올랐다. 올해 들어서는 평균 4.7%로 뛰었다.
지난해부터 지속되는 고금리 기조가 월세를 끌어올린 것이다. 전세 사기 여파 등으로 보증금 반환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고액 전세 임차인의 일부가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돌린 영향도 있었다.
특히 금액별로 100만원 초과 고액 월세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 아파트의 100만원 이하 월세 비중은 2021년 71.7%에서 지난해 68.3%, 올해 들어선 11월까지 66%로 감소했다.
반면 2021년 28.3%였던 100만원 초과 월세 비중은 지난해 31.7%에서 올해 34%로 늘었다. 올해 계약된 월세 임차인의 3분의 1이 월 100만원 이상의 임대료를 지불했다.
최근 3년간 500만원을 초과하는 초고가 월세 비중은 큰 변화가 없는데 비해 100만원 초과~500만원 이하의 비중은 2021년 27.6%에서 지난해 30.8%, 올해는 33%로 늘었다.
용산구, 월세 평균 208만원으로 가장 높아
구별로는 용산구의 월세 평균이 208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나인원한남과 한남더힐 등에서 고액의 월세 계약이 많은 영향이다.
국토부 실거래가시스템을 보면 나인원한남 전용면적 273㎡는 올해 7월 보증금 20억원에 월세 4100만원, 한남더힐 전용 235㎡는 올해 8월 보증금 5억원, 월세 2400만원에 계약이 이뤄졌다.
월세 부담이 커지자 월세를 전세로 돌리려는 수요가 늘면서 전세 비중은 커지고 월세 비중은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52.4%까지 치솟았던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월 44.8%로 감소한 뒤 지난 11월에는 연중 최저 수준인 36.3%로 떨어졌다. 월 기준으론 2021년 5월(32.8%)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저다.
연평균으로도 2021년 39.6%였던 월세 비중은 지난해 43.9%로 늘었다가 올해 들어서는 11월까지 40.9%로 감소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9개월만에 평당 2300만원 넘어서
월세 상승과 더불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9개월 만에 평당(약 3.3㎡) 230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 8월부터 다시 상승세를 보이는 중이다.
10일 KB부동산의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올해 11월 서울 아파트의 평당 전세 평균 가격은 2308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0월 평균 가격인 2288만3000원보다 0.88% 오른 수치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 2월 2329만4000원 이후 9개월 만에 2300만원 선을 재 돌파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올 1월 평당 2398만3000원 수준에서 7월 2245만1000원까지 내려갔다. 하지만 8월부터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상태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달 강남 11개 구의 평당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평균 0.95%였다. 이는 강북 14개 구(0.82%)보다 높은 수치다. 강남 권역에서는 강서(1.48%), 영등포(1.45%), 강동(1.18%), 송파(1.13%)의 상승폭이 컸다.
강북 권역의 경우 용산이 전월보다 2.98% 올랐다. 용산은 서울 전체 지역 가운데 가장 상승 폭이 컸다. 성북도 2.13% 오른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내에서 전월보다 전셋값이 떨어진 지역은 관악 뿐이었다. 관악은 0.18%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전국 기준 지난달 아파트 전셋값은 평당 1181만9000원으로 전월 대비 0.64% 상승했다. 수도권 상승률은 0.85%였다. 인천 상승률이 0.36%로 전국 평균에 못 미쳤으나 경기가 0.95% 오르며 이를 끌어올렸다.
인천의 상승률은 0.36%로 전국 평균을 밑돌았으나, 경기가 0.95% 오르면서 수도권 역시 전국 평균을 뛰어넘는 0.8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5개 광역시는 평균 0.16% 오르는 데 그쳤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