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5일 대국민 사과나 입장 발표 등 추가 담화를 하지 않기로 했다. 여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계엄 선포 및 해제 사태에 따른 혼란에 대해 윤 대통령이 사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용산은 현재로서 추가 담화는 없다는 입장이다. ‘탄핵 표결’을 앞두고 여당 지도부가 어떻게 윤 대통령을 설득해 조금이라도 이탈표를 막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오늘 입장 발표는 없다”고 밝혔다.
앞서 국민의힘은 전날(4일) 의원총회에서 윤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기로 당론을 정했다. 다만 이탈표가 나올 가능성에 대비해 윤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를 통해 여당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고 국민에게 진정성 있게 사과하는 내용이 검토됐다.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 담화에 대해 검토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현재로선 대국민 담화에 대해 뜻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등 여당 지도부와의 긴급 회동에서 “내가 잘못한 것은 없다”는 취지로 언급하면서 계엄 선포의 이유로 ‘민주당 폭거’를 재차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참모진들 사이에서도 사태 추이를 좀 지켜보고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상태다. 어설프게 대국민 사과 메시지를 내놓을 경우, 오히려 국민을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또 진정성을 담는다 하더라도 자칫 ‘탄핵 방지용’으로 비쳐질 가능성도 있다.
탄핵에 대한 국민 여론은 높은 상태다. 여론조사 전문회사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4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5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73.6%가 윤 대통령 비상계엄 사태 관련 탄핵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24.0%이며, ‘잘 모름’은 2.4%로 집계됐다.
윤 대통령은 한 대표의 ‘탈당 요구’도 사실상 거부한 상황이다. ‘박근혜 탄핵 트라우마’를 안고 있는 국민의힘은 탄핵은 절대 불가라는 원칙을 고수키로 했다. 전날 한 대표는 면담 자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를 통해 탈당을 권유했는데, 대통령실은 아예 “탈당 얘긴 없었다”고 일축했다.

한 대표는 5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탈당을 다시 한번 요구한다”고 했다. 그는 “계엄 선포 당일보다 어제, 오늘 새벽까지 더 고민이 컸다”며 “당 대표로서 이번 탄핵안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날 윤 대통령과의 면담 결과에 대해서는 “(윤 대통령은) 민주당 폭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계엄을 한 것이라고 했지만, 저의 인식, 국민의 인식과 큰 차이가 있었고 공감하기 어려웠다”고 털어놨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