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격히 증가한 1인 가구의 주거비용 부담이 민간 소비를 제약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지난해 전국 세 가구 중 한 가구 이상이 1인 가구로 나타났다. 이들의 소득 수준은 전체의 60% 수준에 불과했다. 1인가구의 소비 지출 중 주거비 비중은 20%를 웃돌았다. 주거비용 부담은 소비 위축으로 이어졌다.
한국은행이 3일 발간한 ‘BoK 이슈노트: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5.5%를 기록했다.
1인 가구 비중이 커지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통계청의 2022년 장래가구추계는 2030년 1인 가구 비중을 35.6%로 전망했으나, 지난해 이미 이 수준에 도달했다.
한은은 “1인 가구의 증가 속도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 매우 빨라진 모습”이라며 “2045년 39.1%였던 국내 1인 가구 전망치를 41.1%로 상향 조정했다”고 말했다.
1인 가구 중에서는 청년과 고령층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70세 이상이 19.1%였고, 29세 이하는 18.6%를 차지했다. 30~39세와 60~69세는 각각 17.3%였다. 반면 40~49세는 12.6%, 50~59세는 15.1%를 기록했다. 1인 가구가 늘어난 주요 요인으로 20~30대 청년층은 취업과 학업, 60대 이상 고령층은 이혼·별거·사별가 꼽혔다.
한은은 1인 가구의 증가가 우리나라 경제 전체 소비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팬데믹 이후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다른 가구에 비해 크게 악화됐다는 이유에서다. 평균소비성향은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율을 말한다.
한은에 따르면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2019년 0.78(처분가능소득의 78%를 소비한다는 의미)에서 지난해 0.74로 5.8% 감소했다. 같은 기간 2인 가구(2.5%), 3인 가구(4.3%), 4인 가구(0.5%), 5인 이상 가구(1.8%)의 평균소비성향 감소율보다 컸다.
1인 가구의 소비성향이 악화된 것은 1인 가구의 소득·자산 등 경제 형편이 취약한 상황에서 ▲팬데믹 기간 주거비 상승 ▲생활비 부담 증가 ▲임시·일용직 중심 고용 충격 등이 함께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팬데믹 이후 월세 비용 증가세가 이어져, 청년층의 소비성향을 제약하고, 생활물가 상승이 겹치면서 1인 가구의 소비심리가 위축됐다는 얘기다.
한은은 1인 가구의 소비성향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층 1인 가구의 높은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과 ‘고령층 1인 가구의 열악한 소득, 고용 문제를 해결할 빈곤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은 관계자는 “1인 가구 소비성향 약화의 원인을 고려할 때 내수기반을 튼튼히 하려면 이들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필요하다”라며 “정책 대응 측면에서 연령대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1인 가구만을 대상으로 한 지원책은 저출생 대책과 상충될 수 있다”라며 “영국 등 해외 사례처럼 전체 취약계층을 포괄하는 정책 틀 안에서 1인 가구 문제를 균형감 있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