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70년대생이 자녀 부양, 부모 부양, 자기 부양으로 ‘돌봄 삼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를 부양할 부담이 점차 줄고 있는 1960년대생보다 부모와 자녀를 함께 책임져야 하는 1970년대생이 돌봄 부담의 정점에 있고, 이 때문에 자신의 노후를 제대로 준비할 여유를 갖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50∼64세(1960∼1974년 출생)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돌봄 실태와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이 같은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1960년대생(55∼64세)보다 1970년대 초반생(50∼54세)이 주관적인 건강 지수나 노후 준비, 돌봄 부담 등을 더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
1970년대생의 76%는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고, 42%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다고 답했다.
자녀 부양에는 월평균 107만 원, 부모 부양에는 월 62만 원을 지출했다.
자녀와 부모를 모두 부양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25%로, 월평균 155만 원을 지출했다.
1960년대생은 43%가 자녀를 부양하고 있었으며, 44%가 부모를 부양하고 있었다.
자녀 부양에는 월평균 88만 원, 부모 부양에는 월 73만 원을 지출했다.
부모와 자녀를 이중 부양하는 비율은 1970년대생보다 10%포인트 낮은 15%였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부담스럽다’는 응답은 1960년대생 46%, 1970년대생 57%로 나타났다.
1970년대생이 부모 부양에 지출하는 비용은 1960년대생보다 적었지만, 부담감은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부모에 대한 지원을 부담스럽게 느낀다는 응답자는 1960년대생 33%, 1970년대생 48%였다.
|
연금을 받기 전 소득 공백에 대한 불안도 1970년대생이 더 컸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60년대생의 70%, 1970년대생의 80%가 현재 일을 하고 있었다. 1970년대생의 경우 일자리 지속에 관한 불안감이 56%로 1960년대생(46%)보다 10%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연금을 받기 전까지의 소득 공백에 대한 불안감도 1970년대생이 91%로, 1960년대생(81%)보다 컸다.
|
반면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은 1960년대생이 62%인 것에 비해 1970년대생은 50%에 그쳤다.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로는 1960년대생과 1970년대생 모두 국민연금이 각각 80%와 78%로 가장 높았다.
김용익 돌봄과미래 이사장은 “앞으로 베이비부머들이 대거 은퇴하며 돌봄 수요가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들에 맞춘 장기적 돌봄 정책의 연구와 개발이 절실하다”라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