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강우 기자 국내 중소·중견 건설사들이 해외 건설시장에 진출하거나 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해외진출 시 가장 어려운 요인으로 ‘미수금 수령’이 꼽혔다. 또한, 국내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제도들이 일부를 제외하고 인지도가 낮아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는 연구기관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토연구원(이하 국토연)은 해외건설협회의 중소·중견기업 회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했다. 또한 정부의 해외건설 정책 방향에 대한 인지도는 81.9%에 달해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기업 중심의 고부가가치 시장진출 지원과 더불어, 중소·중견기업의 인력 및 기술, 자본력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 응답 업체 89%, 해외진출 경험 있어
먼저 국토연 측은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진출 현황을 조사해 인식과 제도 수요를 파악하고,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조사에 응한 업체는 210곳이다.
응답업체의 89%는 이미 해외 진출 경험이 있었다. 그리고 11%는 수주실적은 없으나 해외시장 진출에 노력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노력하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 중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주된 이유로는 ‘인력 부족’과 ‘정보 부족(각각 21.7%)’이 꼽혔다. 이 뒤를 네트워크 부족, 입찰 미선정 등이 이었다.
해외시장에 진출하려는 동기로는 시장 다변화와 매출 규모 증대를 위해 ‘신시장개척 필요성’이 48.1%로 가장 높았으며, ‘국내시장 경쟁강화(30.5%)’와 ‘국내시장 변동 대응(12.4%)’이 그 뒤를 이었다.
해외진출 시 가장 고려되고 있는 사업은 ‘국내기업 하도급 사업’이 34.8%로 가장 높게 나왔고, 그다음으로 ‘해외 정부·공공기관 발주사업(23.3%)이 두 번째를 차지했다.
◇ ‘리스크’가 큰 문제… 제도 이용율과 인지도 ‘저조’
이처럼 해외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업체가 많지만 이를 가로막고 있는 리스크도 존재했다.
해외진출 시 가장 어려운 요인으로 꼽힌 건 ‘미수금 수령’이다. 이익을 내기로 시작하는 해외사업인 만큼 금전적인 리스크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다음으로는 ‘현지 여건 및 법제도 조사’와 ‘현지 협력업체 및 노무관리’ 또한 어려운 요인으로 꼽혔다.
이어 국토연 측은 중소·중견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제도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 그 결과 일부 제도를 제외하고 대다수의 해외진출 지원제도를 50% 미만으로 인지하고 있어 제도 홍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외진출 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시장개척 지원사업’이 70.5%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해외건설 전문가/세무/법률컨설팅 지원사업’(64.3%)과 ‘해외건설현장훈련 지원사업’(58.6%) 등의 순이었다. 문제는 지원 제도 중 ‘안다’고 답한 비중이 50%를 넘기는 제도가 3개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한, 이용 및 참여해본 제도가 없다고 답한 비중도 42.9%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국토연 측은 해외진출 지원제도를 알고 있음에도 참여하지 않은 이유로는 제도 정보 부족이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다한 행정 및 복잡한 절차’도 17.8%나 차지했다.
다만 정부의 현재 해외건설 정책 방향은 인지도는 81.9%로 높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공종별로 차이는 있으나 절반 이상의 업체가 현재 정책 관련 해외사업에 참여할 의향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 제도 개선하고 물꼬 터 줘야
이 같은 제도 인지도 저조에도 불구하고 해외 사업에 참여하겠다고 의사를 밝힌 업체들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업체의 72.9%가 해외 도시개발사업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이어 해외 투자개발형 사업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업체도 55.7%나 됐으며, 61.9%의 응답업체가 해외 스마트도시 사업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 같은 현상을 두고 국토연 측은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진출 국가 및 사업 유형 다변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선 국내기업의 하도급 사업을 고려하는 기업이 많아 다른 사업 유형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며, 규모가 작은 기업의 유상원조사업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일부 지원제도에 한해 인지도와 활용도가 높지만, 대부분의 지원제도에 대한 홍보 강화 및 접근성 개선이 필요하다”며 “중장기적으로 해외진출 지원제도 및 사업의 연계·통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도를 알고 있어도 정보가 부족하거나 행정이 복잡해 참여를 못 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 친화적 정보 제공 체계가 구축하고 행정을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무엇보다도 “정부의 해외건설 정책 방향에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업체가 많은 만큼 이 인식을 활용해야한다“며 “대기업 중심의 고부가가치사업 지원과 더불어 중소·중견기업의 인력 및 기술, 자본력을 보완할 수 있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