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쩡히 살아 있는데
호적이 말소됐던 그녀의 사연
![여배우](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0/CP-2023-0225/image-540b6ecb-5d4c-4764-81dd-b9a02f8535a0.jpeg)
“호적에서 파버린다!” 수많은 자녀가 부모님에게 들어온 이 말을, 배우 김금순은 실제로 겪었다. 연기 경력 30년에 달하는 그녀의 인생 여정에는 가족의 반대, 공백기, 그리고 재기의 역사가 담겨 있다.
최근 JTBC 드라마 ‘히어로는 아닙니다만’과 tvN의 인기작 ‘엄마친구아들’에 출연하며 주목받은 그녀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감동적이다.
김금순은 중학교 시절 연기 수업을 계기로 연기에 눈을 떴지만, 오랫동안 선생님이었던 아버지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녀의 아버지는 딸이 연기를 포기하도록 만들기 위해 “호적에서 파버리겠다”고 엄포를 놓을 정도로 강하게 반대했다.
그 말이 그저 협박이 아니었다는 걸 알게 된 건 훗날, 그녀가 등본을 떼러 갔을 때였다. 실제로 자신의 기록이 말소된 것을 확인한 순간, 김금순은 “연기자가 되겠다”는 결심을 더욱 굳혔다.
10년 만의 복귀
![여배우](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0/CP-2023-0225/image-dc8ff4ab-ea93-4b3c-b800-813397d479d5.jpeg)
하지만 이후 김금순은 결혼과 육아를 위해 연기를 잠시 포기해야 했다. 다시 무대에 서기까지 10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다.
2011년, 큰아이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시점에 한 지인의 권유로 프로필을 온라인에 올렸고, 우연히 단편 영화 출연 제안을 받으며 복귀의 첫발을 뗐다. 영화의 카메라 앞에 섰을 때, 그녀는 “첫사랑을 만난 기분이었다”며 그때 느낀 설렘을 회상했다.
그리고 긴 세월이 흐른 2024년 10월 3일, 김금순은 마침내 부산 부일영화상 여우주연상이라는 큰 상을 받았다. 영화 ‘정순’에서 중년 여성의 고통과 회복을 그려낸 그녀의 연기는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여배우](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0/CP-2023-0225/image-0f27a18b-4530-4cfe-bf96-06dc1b009bc4.jpeg)
시상식 무대에서 김금순은 “몸과 마음이 시렸던 그날들을 함께 견뎌준 감독님과 배우, 스태프들에게 이 영광을 돌린다”고 말하며 뜨거운 감사를 전했다.
이날 그녀는 패션 회사에 다니는 큰아들이 준비해준 정장을 입고, 고등학생 둘째 아들이 선물한 보디로션을 바르고 무대에 올랐다. 자식들의 응원이 담긴 그 순간은 김금순에게 “가문의 영광”이었다.
경쟁자들 역시 만만치 않았다. ‘리볼버’의 전도연, ‘시민 덕희’의 라미란, ‘잠’의 정유미, ‘파묘’의 김고은 등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배우들 사이에서 받은 이 상은 그에게 특별한 의미였다. 또한 김서형, 송중기 등 다른 배우들의 축하를 받으며 김금순은 감격의 순간을 한층 실감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여배우](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0/CP-2023-0225/image-aac6c7a4-2ef2-4854-925b-5d252e4c4f7d.jpeg)
영화 ‘정순’은 디지털 성폭력과 그로 인한 개인의 상처를 다루며 관객과 공감을 나눴다. 김금순은 이 작품에 대해 “마치 몸에 사포를 문지르는 듯한 아픔을 표현하는 과정이었다”고 말했다.
그녀의 연기는 “힘든 상황에서도 다시 피어나는 50대의 모습이 감동적이었다”는 관객의 평을 받기도 했다. 지금의 자신이 있기까지 긴 공백기와 도전의 연속이 있었기에, 그녀는 더 단단한 배우로 거듭날 수 있었다.
김금순은 이제 더 다양한 역할을 꿈꾼다. 액션 연기부터 SF 장르까지 도전해 보고 싶다는 그녀는 “아직 보여줄 게 많다. 소처럼 일하며 새로운 연기 세계를 열어가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