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측이 최근 토요일 신문발행 중단 일정을 공식화한 가운데 노동조합과 우리사주조합이 공동성명을 내고 ‘원점 재검토’를 요구했다. 토요일자 폐지 결정이 중대한 매체전략 전환이자 노동조건과 직결된 사안인데도 구성원 의견 수렴 없이 추진됐다는 비판이다.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겨레신문지부와 한겨레신문 우리사주조합은 29일 성명을 내고 “최우성 대표이사의 ‘주5일 발행제’ 확정 발표와 관련해 명확한 반대의 뜻을 공동으로 밝히는 바”라고 했다.
최우성 사장은 지난 25일 사내 공지를 통해 토요판 폐지 일정을 처음 공식화했다. 골자는 내달 23일부터 토요일 신문발행을 중단하고, 22일부터 금요일자로 24면 본지에 더해 24면 타블로이드 섹션지를 추가 발행하는 것이다.
앞서 한겨레지부가 지난 10일 공개한 설문조사에선 조합원 127명 중 91%가 주5일 발간에 의견수렴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58%는 회사의 관련 방침과 개편 속도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최 사장은 “불안과 우려가 큰 건 당연하다”며 “전전임, 전임 경영진 시절을 거치며 내부 검토와 논의를 상당히 진척시켜 왔으나 마지막 단계에서 최종 결정이 보류된 이슈”라고 했다.
한겨레지부와 사주조합은 토요판 폐지 추진이 비민주적이고 불투명하게 이뤄졌다고 했다. “회사가 최초로 주5일제 시행을 공식화한 것은 지난 8월 경영설명회 때였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대표이사는 경영설명회 직전 박현 뉴스룸국장 사퇴 사실을 밝힌 이메일에서 슬쩍 지나가듯이, 그러나 기정사실처럼 언급했다”며 “삶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소리소문 없이 공청회를 열고 여론 수렴 절차를 완수했다고 우기는 권위주의 정권의 행태를 떠올리게 한다”고 비판했다. “‘군불 때기’를 ‘공론화 절차 이행’이라고 우기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도 했다.
양대 조합은 “(회사는) 주5일제로 몇 명의 독자가 구독을 중단할지 정확한 시뮬레이션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한겨레 측이 주5일 발행제를 ‘대전환을 위한 밑작업’이라 밝혀왔고, 이는 지면을 아예 없애 디지털 중심으로 유도하는 ‘극약처방’인데도 구체적 목표나 실행계획 없이 추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양대 조합은 토요일 발행 폐지에 앞서 “그동안 시행해왔던 디지털 전환의 성과와 한계부터 명확히 평가해야 한다”며 “현실은 로그인월 콘텐츠조차 찾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했다. 지난 2~7월 사이 한겨레 로그인 전용 콘텐츠에 887만 명이 접속하고도 실제 로그인한 경우는 1만 명에 불과했다고 했다. 한겨레 독자서비스부에서 시행했던 자체 조사를 들어 “주5일제를 시행하면 독자의 10%가 구독을 중단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있다”고 했다.
양대 조합은 회사 결정을 참여정부 당시 환경단체와 도민 반대에도 강행했던 새만금 사업에 빗대기도 했다. 이들은 “재판부는 사업 진행의 위법성 등을 확인하고도 이미 방조제 건설이 상당부분 진행됐다는 이유로 중단해서는 안 된다고 판결했다. 지금까지도 두고두고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고 했다.
이들은 “주5일제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경영진이 설정한 시간표에 맞춰 졸속으로 추진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이라며 “주5일 발행제 시행 일정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유상진 언론노조 한겨레지부장은 통화에서 “토요판 폐지로 근무에 직접 영향 받는 기자들과 조판팀, 제작국 구성원 중 대부분이 근무 변경 방안을 공유받지도, 의견을 내지도 못했다. 그 사이 혹시나 근무조건이 불리하게 바뀌는 건 아닌지 추측만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윤명수 한겨레 우리사주조합장은 “회사는 전부터 준비해왔고 관련 설명회를 열겠다지만 일정을 확정하고 공론화하는 건 늦다”며 “성명은 토요일자 중단 반대가 아니라 이대로 11월22일자에 시행해야 하느냐고 묻는 취지다. 원점에서 미흡했던 소통 절차를 거치라는 것”라고 했다.
한겨레 측 담당자는 29일 통화에서 “한겨레지부와 사주조합이 밝힌 준비 사항과 궁금한 점 등은 30일 경영설명회 때 최대한 설명하고 이해를 구할 방침이다. 또 11월7~8일에 걸쳐 주5일 발행에 대한 별도 설명회를 열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양대 조합에 별도 간담회를 제안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