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4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석유류 8.4% 올라 21개월만 최대 상승
사과·배 등 신선과일 오름세, 불안 지속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넉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최근 집중호우 등의 피해로 일시적 반등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비교적 안정 흐름을 이어갔다.
다만 사과와 배를 중심으로 과일값 고공행진이 지속되고 있고, 석유류와 신선과일, 외식 등 일부 품목의 물가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3(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2.6% 올랐다.
이는 올해 가운데 2번째로 낮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2∼3월 3.1%로 높아진 뒤 지난 4월(2.9%)부터 다시 2%대로 내려앉았다가 지난달 소폭 0.2%p(포인트) 올랐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지난달에도 5.5% 증가해 상승세를 이끌었다. 축산물(2.2%)과 수산물(0.9%) 등이 전달에 비해 올랐고, 농산물이 9.0% 상승한 탓이다.
사과(39.6%), 배(154.6%), 김(29.6%), 배추(13.4%) 등 과일과 채소, 수산물 가격 강세가 계속됐다.
배는 조사가 시작된 1975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석유류 물가상승률 역시 8.4% 올라 전월(4.3%)보다 오름세가 확대됐다. 2022년 10월 10.3% 증가한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유류세 인하 폭이 축소됐고 국제유가가 상승했고, 기저효과도 있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외식 물가는 인건비와 원재료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9% 증가했다.
가공식품 상승률은 2.0%로 전월(1.2%)보다 0.8%p 확대됐다.
기여도 측면에서는 개인서비스가 물가상승률을 1.25%p 끌어올렸고, 농산물이 0.34%p를 차지했다.
석유류의 기여도는 0.32%p로 전달(0.16) 대비 2배 상승해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수들은 2%대 초반대로 집계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2.1%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0% 상승했다.
신선식품 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7.7% 올랐다. 신선어개(-1.0%)와 신선채소(-1.7%)는 감소했지만, 신선과실이 21.3% 증가했다.
공 심의관은 “전월로 보면 시금치(62.1%), 상추(57,2%), 배추(27.3%) 등이 상승했다”며 “채소는 주기가 짧고 날씨와 계절성 등에 따라 변동이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