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해 10월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독일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깊은 경기 침체로 향해가고 있다”는 진단을 내렸다. 피에르 올리비에 구랭샤스 IM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독일의 위기는 경기 순환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같은 달 독일 기업들의 경기 판단을 보여주는 ifo 기업환경지수는 86.9로 집계됐다. 2021년 6월 101.7을 기록했던 것에 비해 크게 후퇴한 수치다.
독일 ifo경제연구소가 매달 발표하는 ifo 기업환경지수는 독일의 경제 상황을 ‘체온계’처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한국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유사한 이 지수는 독일 내 7000여 개의 기업들로부터 현 경제 상황과 미래 경기 전망에 대해 ‘좋음’ ‘만족’ ‘나쁨’의 셋으로 구분된 답변을 들어 종합한 결과를 수치화한 것이다. 민간 기관인 ifo경제연구소는 독일 최대의 싱크탱크다.
ifo경제연구소가 최근 “독일의 향후 경기에 대한 비관론이 눈에 띄게 늘었다”고 진단했다. 올해 1월 이후 잠시 반등하던 ifo 기업환경지수가 5월부터 다시 3개월 연속 떨어져 7월에 87.0을 기록한 배경을 설명한 것이다. 독일 연방통계청은 30일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0.1%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4분기 0.4% 역성장한 독일 경제는 올해 1분기 0.2%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이다가 다시 내려앉았다.
제조업 강국으로서 ‘유럽의 성장 엔진’으로 칭송받던 독일이 ‘유럽의 병자’로 전락하고 있다. 독일은 그동안 에너지는 러시아에, 수출은 중국에 의존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미중 패권 전쟁에 따른 중국 경제의 위축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게다가 무모한 탈원전 정책은 에너지 위기를 초래하면서 독일 경제의 발목을 잡는 족쇄가 됐다. 우리도 문재인 정부 때 북한과 중국에 기운 편향 외교와 탈원전 정책 등의 과오가 있었다. 독일을 반면교사로 삼아 정책 오류를 속히 바로잡아야 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