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인플레이션에 대한 편차가 클수록 통화정책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한은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은은 원활한 소통을 위해 전망 불일치를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BOK경제연구: 기대인플레이션 불일치와 통화정책 파급효과’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곽보름·심세리 부연구위원 등이 작성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1년 후 물가상승률 수준에 대한 전망이다. 한은은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각각 내놓는다. 이번 분석에서는 전문가 대상 기대인플레이션을 활용했다.
한은은 2006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전문가 기대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정도에 따른 통화정책 효과의 변화를 추정했다. 분석 결과 전문가들의 기대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정도가 높아질수록 통화정책의 효과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 부연구위원은 “불일치 정도가 높으면 긴축적 통화정책 충격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유의하게 낮추지 못했고, 성장률 전망치 등 실물지표는 단기적으로 이론과 반대되는 움직임을 보였다”면서 “반대로 불일치 정도가 낮으면 긴축 충격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실물경기를 둔화시켰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이를 토대로 향후 인플레이션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 전통적 파급경로를 통한 통화정책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고 봤다. 예를 들어 한은의 금리 인상을 향후 경제가 탄탄할 것이라는 신호로 민간 경제주체들이 받아들이는 경우 인플레이션과 기대인플레이션이 오히려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대인플레이션 수준뿐만 아니라 경제주체 간 불일치 정도도 낮출 필요가 있다”면서 “시장 참가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기대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정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