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광주시 금고 12월 만료
지역은행 ‘수성’ VS 시중은행 ‘탈환’
지자체 금고 선정 경쟁을 두고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올 하반기 부산시와 광주시, 경기도 등 지자체 금고 선정을 앞두고 수성과 탈환, 쟁탈전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통상 지자체 금고는 각 지역은행들이 1금고(주금고)를 맡는 것이 전통이었지만, 최근 시중은행들이 강력한 도전장을 내밀면서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12월 말 금고 지정 약정이 끝나는 부산시와 광주시가 사업자 제1금고와 제2금고(부금고)를 맡을 사업자 선정 절차에 착수했다. 내년 3월 만료를 앞둔 경기도도 3분기 중에 담당 은행 선정에 나설 예정이다.
부산시는 이달 10일 금융 운영사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고를 내고 이달 23일 금고 지정 설명회를 개최한다. 내달 9일까지 서류열람 절차를 거쳐 같은 달 14일 제안서를 접수한다. 광주시도 이르면 다음달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고를 게재할 예정이다.
15조7000억 원 규모의 부산시 금고는 일반회계와 19개 기금을 포한한 1금고를 24년째 부산은행이 맡고 있다. 공기업 특별 회계 등 2금고는 국민은행이 운영 중이다. KB국민은행이 1금고에 도전하고 있고, 하나은행이 2금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7조7000억 원 규모의 광주시 역시 1금고는 지역은행인 광주은행이 2금고는 국민은행이 맡고 있다. 이곳도 시중은행들이 눈독을 들이면서 지방은행들의 위기감이 커지는 모양새다.
40조 원에 달하는 도기금을 운영할 계획인 경기도도 이목을 끈다. 오는 10월 중 담당 은행 선정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1금고는 NH농협은행, 2금고는 국민은행이 맡고 있다.
현재 17개 광역 시도 금고 중 농협은행이 경기도를 포함해 9개를 전담하고 있다. 신한은행이 서울시와 인천시 등 2개, 하나은행이 대전시와 세종시 등 2곳을 운용 중이다.
통상 해당지역의 지방은행이 운영한 사례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시중은행들이 지방 금고 경쟁에 참전하고 있다. 지자체 금고 유치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수익성과 유치 후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 때문이다.
부산, 광주시 같은 지자체 금고 은행으로 선정되면 매년 많게는 수십조 원에 이르는 세입·세출을 관리하며 예치금을 운용할 수 있다. 예치금을 운영하면 수익을 올릴 수 있고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금) 관리도 용이하다. 지자체와 산하기관에 소속된 공무원을 잠재 소비자로 확보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지자체 금고로 한 번 지정되면 전산 등 시스템을 바꾸기가 싶지 않아 장기 고객으로 이어져 이른바 ‘충성고객’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시금고 지정 기준은 은행 신용도 및 재무구조 안전성, 대출 및 예금금리, 지역주민 이용 편의성 등 여러가지다. 이 중 출연금도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 출연금은 약정에 따라 은행이 자자체에 용도 지정 없이 출연하는 현금을 말한다. 돈을 많이 투입할 수록 금고지기에 선정될 가능성이 커진다.
은행권 사회활동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대(국민·신한·하나·우리) 시중은행 지자체 출연금은 총 1911억7000만 원이다. 신한은행이 1168억2000만 원으로 가장 많고 우리은행 344억4500만 원, 국민은행 291억8900만 원, 하나은행 107억1600만 원 순이다.
지방은행 은행장들은 지난달 19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진행한 은행장 간담회에서 시중은행들의 지자체 금고 입찰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그동안 지방은행들이 각 지역에서 금고 시장에서 우월적 지위를 누렸지만, 최근 조선대(신한은행), 서울시(신한은행) 금고 선정 등 사례에서 보듯 완전히 달라진 상황”이라면서 “지역 금고 수성은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