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만드는 사람들은 출판업계를 ‘홍대 바닥’이라고도 말합니다. 이곳에 많은 출판사가 모여 있기 때문입니다. 문화 예술의 거리로 불리우던 홍대의 옛 정취도 지금은 많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의미 있는 책의 가치를 전하고 싶습니다. 홍대 바닥에서 활동 중인 다섯 명의 출판인이 돌아가며 매주 한 권씩 책을 소개합니다.
[번역가 조민영] 예년보다 일찍 무더위가 찾아온 여름밤. 잠이 오지 않아 뒤척이다 오래된 책을 꺼낸다. 어느새 20년 긴 세월 한결같이 우리 집 서가를 지키고 있는 책 〈아발론 연대기〉다.
본격적인 책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아발론 연대기〉가 나오게 된 출간 연대기(!)부터 써볼까 한다. 원래 이 책은 2004년 출판사 아웃사이더에서 〈아더 왕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4권까지 출간됐다.
4권까지 읽고 5권 발매를 기다리던 중, 후속편이 더 이상 출간되지 않는다는 소식을 접했다. 열혈 독자로서 나는 적잖이 실망했다. 책날개에는 분명 8권까지 나온다고 광고해놓고 이렇게 무책임할 수가 있나. 전부를 갖지 못할 바에 차라리 다 버리고 싶은 심정이었다.
그런데 이듬해 출판사 북스피어가 〈아발론 연대기〉라는 환상적인 제목으로 재출간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환골탈태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멋진 표지에 무려 고급스런 케이스에 담겨 8권이 동시 출간됐다.
겉만 번드르르해진 게 아니었다. 고풍스러운 내지 디자인에 컬러는 아니지만 도판과 부속 자료도 첨가되었다.
압권은 이 책의 번역자인 김정란 시인의 주석이다. 지금까지도 이토록 섬세하고 독창적인 역자주는 본 적이 없다.
이렇게 우리 집 서가 터줏대감으로 자리잡은 〈아발론 연대기〉 원제는 ‘성배 이야기’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내용은 아더 왕과 원탁의 기사들이 성배를 찾아 떠나는 모험 이야기다. 성배는 예수가 최후의 만찬에서 썼다는 성스러운 잔이다. 아발론은 브리튼 왕국을 정비한 아더 왕이 죽음을 맞이한 뒤 옮겨진 저승이자 낙원이다.
저자 장 마르칼에 따르면 아더 왕 신화와 성배 전설은 켈트 문명과 기독교 문화가 융합되면서 생겨났다. 켈트족은 문자로 기록을 남기지 않아 그 이야기가 대부분 민담과 설화로 전해오는 구전에 의존한다. 반면에 기독교 문헌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고 서로 다른 언어와 사고 체계를 지닌 작가들이 집필했다.
그렇다 보니 이 전승에는 여러 유럽 문화 특징이 어지럽게 뒤섞여 있다. 서로 충돌하는 이야기가 공존하기도 한다. 〈아발론 연대기〉는 기원과 내용이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한데 모아, 내적 질서에 따라 우리 시대 언어로 새롭게 짜낸 거대한 태피스트리다.
고백건대 나는 이 태피스트리에 수놓아진 켈트 영웅들의 환상적인 모험을 따라가다 수시로 길을 잃었다. 언제 끝났는지 모르게 다른 이야기로 이어지는, 이야기 속 이야기에 푹 빠져 정신없이 헤매다 보면 꿈을 꾸는 듯 정신이 몽롱했다. 내가 느낀 이 혼란스러움을 김정란 시인은 이렇게 설명한다.
“우리는 이 네버엔딩 스토리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인류가 발달시킨 온갖 판타지가 엄청난 규모로 펼쳐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판타지는 때로는 조잡하고 야만적이며 때로는 신비롭고 숭고하다. 그러나 그것이 신화의 본질이다.”(1권, 410쪽)
어쩌면 이 같은 신화의 본질적 의미에서 이성의 명령에 지친 우리는 판타지에 열광하는지도 모르겠다.
다만 장 마르칼은 판타지 재미에만 머물지 말고 이 신화가 우리 시대에 건네는 메시지를 읽어내라고 당부한다. 인류 미래는 편 가르지 않고 모두를 아우르는 보편적 사랑에 달려 있다는 메시지다.
|번역가 조민영. 세 아이가 잠든 밤 홀로 고요히 일하는 시간을 즐긴다. 월간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번역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