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면서 시간을 보내는 청년이 9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등에 따르면 5월 ‘쉬웠음’으로 분류된 청년층(15~29세)은 1년 전보다 1만 3000명 증가한 39만 8000여명으로 집계됐다. 여기서 ‘쉬었음’ 인구는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인구를 의미한다.
5월 기준 ‘쉬었음’ 청년은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03년 이후, 2020년(46만 2000명)에 이어 두번째로 많다. 전체 청년인구에서 ‘쉬었음’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만에 4.6%에서 4.9%까지 증가했다. 청년 인구는 감소했지만, 무직 청년은 늘어났기 때문이다.
‘쉬었음’ 청년 중에는 구직 의욕이 있고 현재 이직을 준비하는 이들도 있지만, 구직을 사실상 포기한 이들도 많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실제로 ‘쉬었음’ 청년 10명 중 3명은 구직을 아예 단념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 단념자는 12만 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만 1000명이나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쉬었음’ 인구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일자리의 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상용직 감소세가 곧 취업자 감소로 이어지기도 했다. 상용직은 고용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직장인을 뜻한다. 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더라도, 정해진 절차에 따라 취업한다면 상용직에 포함된다.
5월 기준 청년층 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235만 3000명으로 전년 대비 19만 5000명 감소했다. 상용직이 줄면서, 단기계약직 등 질 나쁜 일자리에 청년층이 모이게 되고 결국 ‘쉬었음’ 인구로 이어진 것이다.
이와 반대로 직장과 다른 일을 겸하는 N잡러가 증가하면서, 양극화 현상을 보인다.
지난 4월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부업을 한 적이 있는 취업자는 전년 같은 분기 22.4%(10만 1000명)에 증가한 55만 2000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청년층의 부업 증가세가 뚜렷하다. 1분기 청년 부업자는 전년보다 30.9%(1만 2400명)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가 증가하는 것과는 대비되는 조사 결과다. 일하지 않는 이들은 점점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오히려 직장인들이 더 많은 N잡을 찾는 셈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