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일리 = 신용승 기자] 한국건설안전학회는 산업안전상생재단과 함께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현장 작동성 강화방안’을 주제로 4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제3차 건설안전 혁신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문건설업 현장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파악해 정부와 원·하청이 함께 논의함으로써 실행 가능한 원·하청 상생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안경덕 산업안전상생재단 이사장은 “본 행사는 두 기관이 협력해 건설업계 안전보건 역량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첫걸음을 내딛는 매우 뜻깊은 행사”이라며 “앞으로 이러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가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보건관리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그는 “전문건설업체들의 어려운 현실적 여건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도 사망사고율은 매년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며 “민간이 함께 나서서 대책을 강구하고 현장에 어떠한 장해요인이 있는지 파악해 정부와 원·하청이 상생협력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보자고 한다”고 덧붙였다.
안홍섭 건설안전학회 회장은 “전문건설사는 산업안전보건법의 주역이자 건설재해의 당사자이면서도 최근까지 각종 대책에서는 상대적으로 소외돼 왔다”며 “공급사슬망의 마지막 배턴을 이어받은 전문건설사는 모든 여건이 매우 취약한 실정으로, 여기에 중대재해처벌법의 확대시행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지난 제2차 건설안전혁신포럼에서도 이러한 전문건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전문건설사의 입장에서 위험성평가 등 안전활동의 실효적 이행방안을 공유, 중대재해처벌법의 근본적 한계와 극복 방안까지 제시한 바 있다”며 “오늘 포럼에서는 기존의 접근 방법을 뛰어넘는 진일보한 해결책이 논의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는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이행에 대한 장애요인(최웅길 삼호개발 부장) ▲전문건설업 안전관리 실행력 강화 방안(이경근 고용노동부 과장) ▲전문건설업체 안전관리 어려움(오병한 경기대 교수) 등의 내용이 다뤄졌다.
특히 오병한 경기대 교수는 정부와 건설업 원·하청이 상생할 수 있는 3가지 모델을 제시했는데, 그 첫 번째 모델은 다양한 정부의 지원 사업을 전문건설업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팀을 만들어 전문건설업체와 고용노동부 및 공단과의 가교역할을 하도록 하고, 공동안전관리자 제도를 건설업 분야까지 확대 시행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모델은 건설업 위험성평가에 핵심요인기술법을 적극 적용해 서류를 간소화시키는 것이며 마지막 세 번째 모델은 외부전문교육기관을 활용한 관리감독자 교육과 관리감독자 자격제 운영 등을 제안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