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오는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발전이 2022년과 비교해 3배 이상 확대된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무탄소에너지(CFE) 비중은 15년 뒤인 2038년 70%에 달하며 본격적인 무탄소에너지 시대로 접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 총괄위원회는 31일 제11차 전기본 실무안을 발표했다. 전기본인 2년마다 수립되는 전력수급계획으로 향후 15년 동안 전력수급의 기본방향과 장기전망 등을 담는다.
전기본 총괄위원회는 경제성장, 기후변화, 산업구조 및 인구변화 등을 반영해 2038년 전력수요를 128.9GW로 내다봤다. 이에 맞춘 2038년 목표수요는 129,3GW이며 예비율(22%)을 감안한 목표설비는 157,8GW로 산출됐다.
지금까지 계획된 화력, 원자력 발전 등 건설 및 폐지 계획과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전망 등에 따르면 2038년 확정설비는 147.2GW 수준이다. 목표설비에 비해 10.6GW 부족한 상황이다.
전기본 총괄위는 이와 같은 전망을 토대로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모두 확대하는 방향으로 실무안을 작성했다. 실무안은 지난 10차 전기본에서 예상한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 보급전망(65.8GW)을 산단태양광 활성화, ESS 조기보강, 이격거리 규제 개선 등을 통해 72.0GW로 상향 전망했다.
이에 따르면 태양광‧풍력 설비용량은 2022년 23GW에 비해 3배 이상 확대돼 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합의한 재생에너지 3배 확대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2038년 태양광‧풍력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115.5GW까지 증가하며 수력‧바이오를 합한 재생에너지 전체 용량은 119,5GW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2038년까지 필요한 신규 설비용량 10.6GW는 기간별로 건설 수요를 도출했다. 특히 대형원전은 167개월의 건설기간을 예상하며 2037년 이후 진입이 가능하다고 보고 설비계획을 구상했다.
이어 전기본 총괄위는 2037년부터 2038년까지 4.4GW의 신규설비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산술적으로 1기당 1.4GW인 APR1400(차세대 한국형 원전) 3기 건설이 가능하다고 추산했다. 그러면서 2038년까지 원전 건설 기수는 부지확보 등 추진일정과 소요비용 등을 고려해 정부가 사업자와의 협의를 통해 최적안을 도출하라고 권고했다.
전기본 총괄위는 이번 실무안에 반영된 설비계획이 이행된다면 2038년에는 ▲신규원전 진입 ▲수소발전 확대 ▲태양광‧풍력 발전 대폭 증가 등으로 2023년에는 40%에도 미치지 못했던 무탄소에너지 비중이 70%에 달할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실무안을 바탕으로 후속 절차를 거쳐 11차 전기본을 확정할 예정이다. 후속 절차로는 전략환경‧기후변화영향평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 관계부처 협의, 전기사업법에 규정된 공청회, 국회 상임위원회 보고 등이 있다. 이후 전력정책심의회 심의를 통해 제11차 전기본이 최종 확정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