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연체율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리볼빙 등 부실채권으로 돌변할 수 있는 카드사의 대출성 자산이 급증하고 있다. 카드사가 대출성 자산을 줄이는 등 건전성 관리에 들어갈 전망이지만 향후 카드론 심사 등이 깐깐해지면서 신용 취약계층이 사채시장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3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지난달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39조9644억원으로 역대 최대였던 3월(39조4821억원) 대비 4823억원 증가했다.
지난달 말 현금서비스 잔액 또한 6조5605억원으로 전달 말보다 1000억원가량 늘었고,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도 7조3345억원으로 3월(7조3236억원)보다 늘었다. 지난달 말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1조8353억원)은 한 달 새 547억원 늘었다. 카드론 대환대출은 카드론을 만기 내에 갚지 못한 차주들이 심사를 다시 받아 대출을 받는 것이다.
이런 대출성 자산은 카드사에 이익을 가져다 주지만 고금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차주들이 돈을 갚지 못한다면 부실채권으로 변할 가능성이 높다. 서지용 상명대 교수(한국신용카드학회장)는 “고금리에 차주들이 상환을 하지 못하며 카드사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카드론 공급을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본업인 신용판매에 집중하며 건전성을 개선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카드사 평균 연체율은 1.69%로 2014년 이후 연간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올 1분기엔 삼성카드를 제외한 모든 카드사에서 연체율이 더 상승했다. 올 1분기 하나카드(2.3%), 우리카드(2.28%), KB국민카드(2.14%) 등은 연체율이 2%를 넘었으며 롯데카드(1.94%)와 신한카드(1.82%)도 연체율 2%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하나카드 관계자는 “연체율이 높은 고이율 자산과 대환대출 중심으로 부실 자산 매각을 통해 건전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업계에서는 연체율 관리를 위해 카드사들이 조만간 대출성 자산을 줄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연체율 관리를 위해 카드론 심사를 까다롭게 하는 등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며 “조달 금리 상승 등으로 대출성 상품 수익성이 낮아진 점도 대출성 자산을 줄이는 유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카드사들은 지난해에도 대출성 자산을 줄이려 했으나 실패한 바 있다. 저축은행 등에서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을 줄이며 해당 수요가 카드론에 몰렸기 때문이다. 또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은 제2금융권에 중저신용자에 대한 포용금융을 요청하고 있다”며 “카드사마저 대출성 상품을 줄인다면 취약 차주들이 사채시장으로 흘러갈 수 있어 이를 급격하게 줄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