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스타링크’ 같은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R&D)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2030년까지 위성통신용 인공위성을 쏘아올리고 이쯤 상용화할 6세대 이동통신(6G)을 구현하는 데도 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다. 다만 예산은 당초 기대치에 크게 못 치는 수준이라 향후 지원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제4회 국가R&D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고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2030년까지 6년 간 3200억 원을 투입해 통신위성 2대와 지상 기지국 등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과정에서 독자기술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국내 출시를 앞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처럼 지상 통신망이 아닌 위성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해상이나 산간 등 지상망을 갖추기 힘든 장소나 분야에 주로 쓰인다. 일부 스마트폰의 긴급 구조 요청 기능에도 쓰인다.
위성통신은 특히 6G 구현을 위한 비지상망(NTN) 기술로도 각광받는다. 6G는 기존보다 신호 거리가 짧고 그만큼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한데 이를 지상망을 촘촘히 구축하는 방식으로 해결하기에는 통신사 입장에서 비용 부담이 크다. 이미 28GHz 5G도 비슷한 이유로 통신사들이 투자하지 않고 주파수를 정부에 반납했다. 위성통신은 6G 지상망을 보완하는 기술로 기대받으며 한국 정부도 2028년 이후 6G 상용화를 위해 이 기술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다만 예산 규모는 지난해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10월 신청한 4800억 원의 3분의 2 수준에 그쳤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당초 시험용 위성까지 총 3대를 만들어 발사할 계획을 세웠는데 이를 조정해 실용 위성 2대만 발사하고 이 과정에 시험절차까지 통합하기로 했다”며 “당초 계획처럼 기술을 확보하는 데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