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21년 수소를 핵심 사업으로 천명한 뒤 3년이 흘렀다. 당시 그룹 내 수소 전담 조직을 마련하고 미국 수소 1등 기업 플러그파워에 1조6000억원을 투자하며 새 시대를 연다는 기대감이 부풀었으나, 수소에 대한 경제성과 현실화에 대한 의구심은 지금껏 여전하다. 친환경 한축인 전기차가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정체)을 맞이했듯 수소 대중화까지 시간이 걸리는 만큼 정체기를 맞닥뜨렸단 평가도 나온다.
그런 와중에도 수소 사업을 주도하는 계열사 SK E&S는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채비에 여념이 없다. 업계 우려에도 당초 계획했던 수소 로드맵을 하나씩 실현하며 사업 진행 속도를 늦추지 않고 있다. 이달 초에는 세계 최대 규모 액화수소 플랜트를 준공했으며, 국내 수소시장의 한계라 여겨지는 충전 인프라 구축도 발 벗고 나섰다. 결국 수소가 미래 연료로서 대체할 것이란 그룹 판단에 따라 SK E&S도 국내 사정에 맞춰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 E&는 이달 초 인천 액화수소플랜트를 준공한 뒤 현재 시운전을 진행하고 있다. 설비는 하반기 본격적으로 상업 가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인천 액화수소플랜트는 인근 SK인천석유화학의 공정 내에서 발생하는 기체 상태의 부생수소를 고순도 수소로 정제 후 냉각해 액화수소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단일 공장 기준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연간 약 3만톤의 액화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이는 수소버스 약 5000대를 1년간 운행할 수 있는 양이다.
액화수소는 높은 안정성과 대용량의 저장 및 운송 능력을 보유해 전 세계적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 수소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액화수소플랜트에서 생산된 액화수소를 전국으로 운송하는 것은 물론, 추후에 보관할 시설도 필요하다.
이에 따라 SK E&S는 생산에서 멈추는 것이 아닌, 수소가 유통될 수 있도록 수소충전소를 마련하고 있다. 총 40개의 충전소를 구축, 올해는 20개소를 개시한단 목표를 세웠다. 운송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액화수소를 실어나를 수 있는 물류사인 CJ대한통운이 맡는다. 또 SK E&S는 액화수소가 버스, 트럭 등 상용차에 우선적으로 활용되는 만큼 전국 지자체 및 운수사와 수소버스 전환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여기까지가 수소 로드맵 1단계라면, 향후 블루수소를 생산함으로써 2단계를 진행할 예정이다. 블루수소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활용·저장 기술을 적용한 수소로, 수소 전환 시대에 가장 현실성 있는 방식으로 여겨진다. 다만 국내에서 생산 물량 및 지원 등이 구체화되지 않아 사업이 대체로 지연되고 있다.
SK E&S는 블루수소 생산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는 시기에 맞춰 플러그파워와 함께 수소 연구기지인 ‘기가팩토리’를 구축하고, 충남 보령에 블루수소 플랜트를 세울 계획이다. 수소로드맵 최종 완성인 3단계는 블루수소 사업 확장과 그린수소 사업 진출이다.
SK E&S는 특히 기존에 해왔던 LNG(액화천연가스) 사업 역량을 통해 수소 사업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단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SK E&S의 전력, 도시가스 등 사업역량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유통망을 확대할 수 있다. 또 그룹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 SK시그넷 등이 운영하고 있는 정유소, 충전소 역시 향후 수소 인프라 구축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추형욱 SK E&S 사장은 “올해는 대한민국 에너지산업사(史)의 흐름을 바꿀 ‘액화수소 시대’의 원년으로 기억될 것”이라며 “인천 액화수소플랜트 가동 및 액화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 계획을 차질 없이 수행해 안정적인 수소 수급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