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자들의 사업경기 전망이 악화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높아진 데다 주택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5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2p 하락한 74.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90.8로 0.5p 상승했다. 서울은 93.1로 4.6p 하락했고 인천(82.8→88.5)과 경기(90.4→90.9)는 상승했다. 아파트 거래량 증가와 매매가 상승 유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서울은 급등에 따른 조정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비수도권은 2.5p 하락한 70.6을 기록했다. 광역시권은 2.9p(72.5→75.4) 상승했고 도 지역은 6.6p(73.5→66.9) 하락했다.
광역시에서는 울산(64.7→75.0), 부산(72.0→80.7), 대전(71.4→78.2), 세종(87.5→88.8)이 올랐다. 주택가격 회복세가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이어진 모습이다.
광주(63.6→58.3)와 대구(76.0→71.4)는 떨어졌다. 광주는 지역 저축은행 PF 대출 연체율이 작년 12월 기준 8.1%까지 치솟은 게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대구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 증가세가 부담으로 작용했다.
도 지역에서는 강원(66.6→78.5)이 큰 폭으로 올랐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하락했다. 동해지역 아파트 가격 오름세와 GTX-B 노선 연장안 발표에 따른 춘천의 상승세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주산연은 “총선 이후 정부가 추진하는 재건축·다주택자 세금 완화 법령 개정이 난항을 겪는 와중에 미 연준 금리 인하 시점이 모호해지고 우리나라 금리 인하 시점 역시 불확실해지면서 사업경기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수도권은 주택가격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도 지역은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비수도권 주택사업경기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고 해석했다.
전국 자재수급지수는 전월보다 5p 상승한 91.1을 기록했다. 수입 건자재 가격 상승 폭 둔화, 레미콘 우선 납품 의무화 등으로 자재 가격 변동이 안정화되면서 석 달 연속 상승했다.
자금조달 지수는 2.4p 하락한 68.1로 집계됐다. 대출금리가 연초보다 낮아졌지만, 상호금융권을 중심으로 한 대손충당금 적립률 기준이 강화돼 자금조달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댓글0